부동산
文정부 3년, 6억 이하 서울 아파트 반토막 `67.3%→29.4%`
입력 2020-09-21 10:19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 = 매경DB]

현 정부 출범 이후 매매가 6억원 이하 서울권 아파트가 절반 이상 사라졌다.
반면 9억원을 넘는 아파트는 2배 이상 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은 한국감정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내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2017년 5월에는 67.3%였으나 3년이 지난 올해 6월에는 29.4%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21일 밝혔다.
반면 시세 9억원 초과 아파트 비율은 15.7%에서 39.8%로 증가했다.

15억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비율도 3.9%에서 15.2%로 높아졌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서울 강동구에서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가장 크게 줄어들었다.
2017년 5월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은 74.9%였지만 올해 6월에는 8.9%를 기록했다.
그 사이 9억원 초과 아파트는 0.4%에서 49.0%로 확대됐다.
성북구의 경우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은 같은 기간 97.0%에서 33.6%로 축소됐고, 동대문구는 88.9%에서 26.0%로 줄었다.
서대문구 또한 88.6%에서 26.5%로 6억원 이하 아파트가 증발한 수준이다.
초고가 주택이 밀집한 강남지역에서는 15억원이 넘는 초고가 아파트가 더욱더 많아졌다.
강남구의 경우 15억원 초과 아파트 비율이 26.8%에서 73.5%로 높아졌다.
서초구와 송파구는 각각 22.4%에서 67.2%, 5.3%에서 43.1%로 확대됐다.
김 의원 측은 "지난 3년여간 일반 서민은 거의 바라볼 수 없을 만큼 가격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서윤덕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