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뤼이드, 글로벌 업계 거물급 인사 대거 합류
입력 2020-09-16 10:39  | 수정 2020-09-16 11:19
뤼이드가 최근 영입한 고위급 인재들. [사진 제공 = 뤼이드]

미국 본토에 진출한 국내 인공지능(AI) 기업에 거물급 글로벌 인사들이 속속들이 합류하고 있다.
16일 AI 튜터 솔루션 기업 뤼이드(Riiid, 대표 장영준)는 올해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글로벌법인 뤼이드랩스에 교육 및 기술 부문 주요 인사들이 합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뤼이드랩스에는 ACT, ETS, 캐플란, 프린스턴리뷰 등 글로벌 주요 교육기관 임원 출신 업계 베테랑들이 이미 합류했으며 UC버클리, 스탠포드, 카네기멜론 등 유수 대학 석박사 출신의 AI 연구진 등 30여명이 근무 중이라는게 뤼이드의 설명이다.
최근 합류를 확정한 대표적 글로벌 인사로는 미국 대학입학자격시험 주관사인 ACT의 전 CEO 마텐 루다(Marten Roorda), 다트머스, 스탠포드대학교 등의 학장 및 부학장을 지낸 짐 래리모어(Jim Larimore), 그리고 구글 본사에서 기계지능 및 헬스 데이터 과학 부문을 리드한 요한 리(Yohan Lee) 신경과학 박사 등이 있다.
고위 주재임원(Executive in Residence, EIR)으로 지난 8월 뤼이드랩스에 합류한 마텐 루다는 지난 20년간 기술을 통해 미국 및 유럽 등 글로벌 교육 시장을 개척해온 핵심 인물로 평가 받는다. 네덜란드 출신인 그는 2000년 초반 이러닝과 온라인 학습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2006년 원격 시험 시스템을 글로벌 교육 시장에 도입하기도 했다. 2015년 미국 ACT본사의 CEO로 선임된 후 개인화 학습을 목표로 기술 연구개발을 주도하고, 서비스에 적용하여 조직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이끈 바 있다. 이러한 업계 리더십을 바탕으로 뤼이드에 합류한 그는 향후 다양한 영역의 파트너십을 발굴, 제안하고 뤼이드 기술 적용 영역을 확장하여 더 많은 학생들이 AI 기술을 통한 효과적 학습 솔루션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뤼이드랩스의 교육 기회 확대 부문 최고 책임자(Chief Officer for Equity in Learning)로 합류한 짐 래리모어는 최근까지 미국 ACT의 교육공정성센터장을 지냈고 다트머스대학교 학장, 스탠포드대학교 부학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빌 앤 멜린다 게이츠 재단 부국장으로서 국제 교류와 미국 내 교육 기회 확대 및 기술 접근성 강화 등의 활동을 전개한 바있다. 뤼이드에서는 학습 및 교육 분야 압도적 AI 기술력을 무기로 미국 공교육 및 글로벌 상위 교육기관과의 파트너십을 이끌어 자사 AI 교육 솔루션의 사회적 역할과 파급력을 한층 더 강화하는데 앞장설 예정이다. 그는 최근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인 조 바이든의 교육정책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되기도 했다.
전략담당 부사장(VP of Strategy)으로 선임된 요한 리 박사는 학습과 기억 관련 신경과학, 데이터과학, 머신러닝, 시맨틱 컴퓨팅, 클라우드 아키텍처 및 전략개발 등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UCLA에서 유전체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의학연구기관인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es of Health, NIH)에서 정신 건강 관련 유전자 연구를 수행하기도했다. 이후 미국 유력 컨설팅사를 거쳐 구글 본사 및 딥러닝 AI 연구팀 구글 브레인에서 근무하며 학습과 기억 패러다임에 기반 사용자의 다양한 행동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 개발 및 프로덕트 적용을 주도했다. 그는 전략 부사장으로서 AI옵스(AI Ops) 프로세스 운영을 주도하여 기술을 제품 및 서비스에 최적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익화하는데 기여할 예정이다.
장영준 뤼이드 대표는 "많은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진출을 선언하고 인재영입에 힘쓰지만 흔히 미국 시장의 거물들이 국내 스타트업을 선택할 이유가 없다고들 이야기 한다"고 말했다. 그는 "뤼이드랩스가 최근 영입한 인재들은 인종과 문화가 각기 다르지만 모두 같은 소명과 비전을 공유하고 있다"며 "이들의 압도적 역량과 경험 및 네트워크로 교육 산업을 기술 중심 산업으로 재편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뤼이드는 새로 합류한 글로벌 핵심인사들과 함께 사업 영역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기술은 날카롭게 개발, 적용하여 글로벌 AI교육 시장에서의 사업적, 사회적 영향력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종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