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영업 재개에도 PC방 울상…"학생·취식 금지는 돈 벌지 말란 것"
입력 2020-09-15 15:36  | 수정 2020-09-22 15:36

사회저 거리두기 완화로 PC방 영업이 재개됐지만, 업주들은 여전히 울상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14일부터 음식 취식과 미성년자 출입 금지를 조건으로 수도권 PC방 영업을 허용했다.
그러나 PC방 업계는 미성년자 출입과 음식 판매가 금지된 데 대해 '비현실적인 조치'라며 조건 해제를 강력히 요청했다.
PC방특별대책위원회는 전 날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앞으로 2주간 학생 손님과 음식물 판매를 불허하는 조건은 문은 열어두고 장사는 하지 말라는 것과 무엇이 다르냐"고 호소했다.

음식 판매와 학생 손님이 PC방 매출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조건부 영업 허가는 업자들의 생계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한 PC방 업주는 "미성년자 출입과 음식 섭취를 금지하면 어차피 문을 연다고 해도 손해"라며 "이미 극심한 적자 상태에서 계속 운영비만 낭비하는 격"이라고 정부 대책을 비판했다.
또 다른 업주는 "타 업종보다 회원 관리를 더 철저히 했고 강력한 환기시스템도 갖추고 있다"며 "PC방에만 지나친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PC방 업주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지자체는 14일 오후부터 '물·음료를 판매하고 마실 수 있다고 문자로 안내했다.
한편, 정부는 현장 점검을 통해 PC방 업주가 방역 수칙을 지키지 않을 경우 즉시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는 '원스트라이크-아웃제'를 적용한다.
[서윤덕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