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부, 코로나19 백신 3천만 명분 확보 추진…국민 60% 접종분량
입력 2020-09-15 14:22  | 수정 2020-09-22 15:04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처를 위해 1차로 국민 60%가 접종할 수 있는 3천만 명 분량의 해외 백신 확보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또 향후 수급 상황과 국내 백신개발 상황 등을 고려해 추가 분량을 확보하는 등 전 국민 접종을 목표로 백신 확보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오늘(15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해외백신 개발 추진상황을 점검하는 동시에 국내백신 개발 속도를 고려해 해외백신을 단계적으로 확보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코로나19백신 도입방안'을 논의했습니다.


◇ "백신 3천만 명분은 집단면역 형성할 수 있는 수준"

정부는 1단계로 전 세계 백신 공급 체계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1천만 명분(2천만 도즈, 1도즈는 1회 접종량)을, 개별 기업과의 협상을 통해 2천만 명분(4천만 도즈)의 백신을 각각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1단계 확보 물량을 3천만 명분으로 설정한 이유에 대해 "우선접종대상자와 집단면역 수준을 함께 고려했다"며 "집단면역은 인구의 60∼70% 수준이 (면역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저 수준까지는 가야 국민이 안심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위해 선구매 계약 비용 1천723억 원을 질병관리청이 집행할 수 있도록 이미 확보해 둔 상태입니다. 예산의 40%는 코백스 퍼실리티, 60%는 개별기업과 계약에 투입될 예정입니다.

정부는 앞서 코백스 퍼실리티 참여를 위해 백신 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에 지난달 31일 가입의향확인서를 제출했고, 이달 18일까지는 법적 구속력 있는 확정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선입금 납부는 다음 달 9일까지 할 예정입니다.


◇ "개별 기업과 협상 많이 진척…2천만 명분 확보 문제 없어"

코백스 퍼실리티 참여와 동시에 글로벌 기업과의 협상을 통해 2천만 명 분량의 백신 선구매도 진행합니다.

현재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화이자, 존슨앤드존슨, 모더나 등과 협상을 진행 중이며 향후 우수한 백신이 개발되는 회사가 나오면 추가 협상채널을 가동한다는 방침입니다.

임 국장은 "(개별 기업들과의) 협상은 많이 진척됐다"며 "(각 기업마다) 백신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종류별로 조합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정부는 선구매 계약은 신중하게 진행한다는 입장입니다. 선구매 백신은 안전성·유효성 검토 결과, 가격, 플랫폼, 공급 시기 등을 고려해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거쳐 결정할 계획입니다.

임 국장은 "백신 안전성, 유효성이 완전히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서둘러 선구매 계약을 하면 우를 범할 수 있다"며 "외국보다 우리가 백신 선구매가 늦다는 평가는 동의하지 않는다. 안전성과 유효성을 충분히 검토해 구매 계약을 체결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정부는 중국 제약사 시노팜의 백신 개발도 외교채널을 통해 모니터링 하고 있습니다.

임 국장은 시노팜의 백신 확보 계획과 관련해 "이상반응이 굉장히 낮고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오고 있다"며 "식약처를 통해 시노팜의 백신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하고 있고, 좋다고 판단되면 선구매 할 수 있도록 협의채널을 가동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 국내기업 백신 개발 지원…10월 예방접종 시행계획 수립

이렇게 3천만 명 분량의 백신을 확보한 이후에는 추후 수급 동향, 국내 백신개발 상황 등을 고려해 2단계 백신 구매도 단계적으로 추진합니다. 전 국민이 접종 가능한 백신 물량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임 국장은 "앞서 정부가 밝힌 국민 70% 이상에게 백신 접종을 하겠다는 전략은 유진하고 있다"며 "(이번에 밝힌 1단계는) 60% 이상을 확보한다는 것이고 추가 구매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해외백신 구매와 별도로 국내기업의 백신 개발지원 대책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앞서 지난달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국내 백신개발기업 3곳에 대한 임상시험 비용 지원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임상환자 모집 등 임상 과정에서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국가 감염병 임상시험지원센터' 구축에도 나섰습니다.

정부는 다음달까지 예방 접종 대상을 누구로 할 것인지 등의 계획을 수립할 예정입니다. 백신 접종 비용은 심의를 통해 추후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