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연소득 5배`로 살 서울아파트 거의 없어져
입력 2020-09-04 17:31  | 수정 2020-09-04 20:58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전경. 지난 10년간 서울 중산층이 부담 가능한 서울 내 민간 아 파트 비중은 12.7%(2010년)에서 2.6%(2019년)로 급감했다. [사진 출처 = 매경DB]


아파트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소득은 정체되면서 지난 10년간 평균 소득을 버는 사람이 '부담 가능'한 아파트 비율이 최근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빚을 지거나 부모 도움 없이는 아파트를 살 수 없게 된 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중산층에게 내 집 마련 기회를 주기 위해 주택 공급을 더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4일 LH주거안정센터에 따르면 부담 가능한 집값(연소득 5배 범위 내) 기준 구입 가능한 민간 아파트 비중이 서울은 2010년 12.7%에서 2019년 2.6%로 급감했다. 이는 매년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원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부담 가능한 주택 기준이 되는 '연소득 5배'는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이 주택 정책에 대한 국제비교 지표를 개발하면서 1990년대에 만든 기준이다.
2010년 서울에서 부담 가능한 민간 아파트 비율은 12.7%였다. 당시 서울 자가 가구 중에서 아파트 거주 가구 수는 81만8678가구, 이 중 5년치 연소득(2억8260만원) 가격 범위에 있는 민간 아파트는 10만4374가구였다.
반면 2019년에는 해당 비율이 2.6%로 급감했다. 2019년에는 서울시민 5년치 연소득(2억6549만원) 내에 해당하는 가구 수가 2만6366가구로 확 줄었다.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을 가리키는 PIR만 봐도 서울 아파트가 얼마나 고가인지 알 수 있다. KB국민은행과 프론티어센터에 따르면 서울 PIR는 올해 2분기 기준 11.4로 홍콩(20.8), 밴쿠버(11.9) 다음으로 세계 3위를 기록했다.
그나마 가격이 저렴하다고 알려진 노원구, 강서구 등 서울 외곽 민간 아파트도 기본 3억~4억원 이상으로 오른 점을 감안하면 2.6%라는 수치가 피부에 와닿는다. 월 200만원대 후반을 벌고 있는 회사원 이윤상 씨(가명·33)는 "서울 아파트는 웬만한 곳도 4억원을 넘어 매수는 꿈도 못 꾼다"고 말했다. 경기·인천 등 수도권 상황도 마찬가지다. 2010년과 2019년을 비교해보면 경기도는 부담 가능한 민간 아파트 비율이 37.9%에서 28.5%로 9.4%포인트 낮아졌다. 인천도 같은 기간 44.8%에서 31.8%로 13%포인트 감소했다. 서울 동북권에 사는 2년 차 신혼 부부인 광화문 직장인 신중혁 씨(가명·30) 부부는 둘이 합쳐 월평균 500만원(연소득 6000만원)을 버는데 세금과 보험, 생활비를 제외하면 최대 모을 수 있는 돈이 월평균 250만~300만원가량이다. 연 3000만원가량 저금하는 셈인데 이들 부부가 찾는 3억~4억원대 아파트는 찾기 어렵다. 신씨는 "신혼부부 특별공급 자격 조건이 돼 청약을 넣어보려 해도 대부분 분양가가 최소 5억원 이상이라 언감생심"이라고 말했다. 진미윤 LH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산층이 부담 가능한 2억~4억원대 분양 아파트를 3기 신도시를 통해 대거 공급하면서 동시에 공공임대주택 범위도 저소득층에서 중산층까지 확대해야 한다"며 "아울러 현재 3년 내 분양가를 모두 납부하도록 돼 있는데, 10년간 분할 납부하도록 중도금과 납부 시기를 이연할 수 있는 제도를 민간 분양에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현준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