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소득은 정체되면서 지난 10년간 평균 소득을 버는 사람이 '부담 가능'한 아파트 비율이 최근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빚을 지거나 부모 도움 없이는 아파트를 살 수 없게 된 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중산층에게 내 집 마련 기회를 주기 위해 주택 공급을 더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4일 LH주거안정센터에 따르면 부담 가능한 집값(연소득 5배 범위 내) 기준 구입 가능한 민간 아파트 비중이 서울은 2010년 12.7%에서 2019년 2.6%로 급감했다. 이는 매년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원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부담 가능한 주택 기준이 되는 '연소득 5배'는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이 주택 정책에 대한 국제비교 지표를 개발하면서 1990년대에 만든 기준이다.
2010년 서울에서 부담 가능한 민간 아파트 비율은 12.7%였다. 당시 서울 자가 가구 중에서 아파트 거주 가구 수는 81만8678가구, 이 중 5년치 연소득(2억8260만원) 가격 범위에 있는 민간 아파트는 10만4374가구였다.
반면 2019년에는 해당 비율이 2.6%로 급감했다. 2019년에는 서울시민 5년치 연소득(2억6549만원) 내에 해당하는 가구 수가 2만6366가구로 확 줄었다.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을 가리키는 PIR만 봐도 서울 아파트가 얼마나 고가인지 알 수 있다. KB국민은행과 프론티어센터에 따르면 서울 PIR는 올해 2분기 기준 11.4로 홍콩(20.8), 밴쿠버(11.9) 다음으로 세계 3위를 기록했다.
[나현준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