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年1.5%+α` 뉴딜펀드 잘될까…조건 비슷한 예금선 23조 썰물
입력 2020-09-04 17:14  | 수정 2020-09-04 19:48
정부가 지난 3일 발표한 '한국판 뉴딜펀드'를 두고 '수익률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금융권에서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인 연 1.5% 이상 수익률을 기본적인 목표로 설정했지만 '혈세 논란'이 일 수 있는 상황에서 무턱대고 투자 위험을 감수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수익률과 투자 위험은 정비례한다는 측면에서 뉴딜펀드가 낼 수 있는 수익도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가운데 은행에 따라 많게는 연 1.5% 금리를 제공하고 있는 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1년 새 23조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연 1.5%+알파(α)'를 '한국판 뉴딜펀드'의 1차적인 목표 수익률로 설정했다. 실제 수익률은 이보다 높을 수 있지만 펀드가 어떻게 설계될지 결정되지 않은 단계에서 국채 수익률보다 높은 수익률을 언급하기가 조심스럽다는 게 금융당국 측 인식이다.
금융권에서는 금융당국이 언급한 목표 수익률은 개인투자자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시각이다. 현재도 일부 은행이 원금이 보장되는 정기예금(만기 1년)을 우대금리를 포함해 연 1.5%에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에서는 뉴딜펀드가 '원금 보장' 측면에서 정기예금 수요자들이 관심을 보일 만한 상품이지만 만기까지 기간 등을 고려하면 수익률을 2~3%까지 올려도 차라리 정기예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말도 나온다.
최근 저금리와 자산 시장 활황세 여파로 국내 시중은행 정기예금은 큰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628조6200억원으로 1년 전(651조9400억원)에 비해 23조3200억원(-3.7%) 줄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주식, 부동산 등 자산 시장이 워낙 오름세를 보이다 보니 원금 보장 매력보다는 수익률을 따라가는 투자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정부가 무턱대고 수익률을 높여 잡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정책형 뉴딜펀드'와 '뉴딜 인프라펀드' '민간 뉴딜펀드' 등을 조성하되 정책형 뉴딜펀드가 모(母)펀드로서 자(子)펀드에 후순위로 출자해 민간 투자자금 손실을 흡수한다는 방안을 내놨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 '세금으로 손실을 메워준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러다 보니 정부도 손실을 감수하기보다는 안전한 투자처를 선택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뉴딜펀드에 정부 재정과 정책금융이 5년간 7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는데 7조원 모두를 위험도가 높은 곳에 투자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며 "지금 같은 저금리 상황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큰 위험을 감수해야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데 정부로서도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승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