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사실상 원금 보장' 뉴딜펀드…수익률은 1.5%+α?
입력 2020-09-04 10:04  | 수정 2020-09-04 10:56
【 앵커멘트 】
이런 계획에 민간이 얼마나 호응할지가 관건이겠죠.
정부는 사실상 원금이 보장되고 수익률도 은행 이자보다 높을 거라고 하는데, 시중에 풀린 막대한 자금을 빨아들일 수 있을까요?
이기종 기자입니다.


【 기자 】
수소·전기차 개발, 데이터센터와 그린스마트스쿨 같은 미래 성장 사업에 투자하는 정책형 뉴딜펀드.

「정부는 내년부터 5년에 걸쳐 7조 원을 투입합니다.

여기에 일반 국민과 연기금 등 민간자금이 13조 원 더해져 20조 원 규모의 펀드가 조성됩니다.

정부 투자금 35%는 손실을 먼저 흡수하는 후순위 출자여서 투자원금은 사실상 보장될 전망입니다.」

▶ 인터뷰 : 은성수 / 금융위원장
- "펀드가 투자해서 손실이 35% 날 때까지는 이 35% 손실을 다 흡수한다는 얘기가 되겠습니다. 원금이 보장될 수 있는 충분한 성격이 있다…"

정부는 펀드 수익률이 적어도 연 1.5% 수준인 국고채 금리보다는 높을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다른 종류의 뉴딜 인프라펀드에는 정부자금이 들어가지는 않지만, 투자금 2억 원 한도로 배당소득세율을 14%에서 9%로 깎아주기로 했습니다.」

이 같은 혜택에도 민간의 호응을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 인터뷰 : 송인호 /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 "증시와 부동산에 대한 잠재 대기수요가 워낙 강한 것으로 보여요. 「개인의 유동성을 흡수하기에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

실제 펀드 운용 과정에서 수익률을 높이는 게 관건입니다.

▶ 인터뷰 : 황세운 /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이른바 관제펀드들은 용두사미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런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투자자들의 눈높이에 맞출 수 있는 기대 수익률의 확보가…"」

투자대상을 선정하면서 동시에 정책 지원까지 이뤄지는 만큼 투명한 운영도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이기종입니다. [ mbnlkj@gmail.com ]

영상취재 : 김인성 기자
영상편집 : 이재형

#MBN #뉴딜펀드 #원금보장 #수익률은 #이기종기자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