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문대통령 "3단계 격상 신중히…2단계 효과 지켜보고 결정"
입력 2020-08-28 17:59  | 수정 2020-09-04 18:0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전국적으로 폭증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3단계로 격상해야 한다는 여론에 문재인 대통령이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오늘(28일) 서울 국립중앙의료원을 찾아 주영수 국립중앙의료원 기획조정실장, 이창준 중앙사고수습본부 환자병상관리반장 등으로부터 중증환자 병상확보 현황 등을 보고받았습니다.

이 자리에서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 원장은 "왜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를 하지 않느냐 하는데, 점점 사망자가 줄고 있다"며 "이는 병의 성격도 알았고, 보이지 않지만 의료체계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확진자 수가 늘어나는 것에 불안감이 있을 수 있으나 그에 대응할 역량이 있다면 불안해할 필요가 없다"고 부연했습니다.

이에 문 대통령은 "그러니까 3단계로 방역 단계를 격상하는 부분은 좀 더 신중하게…"라며 "2단계로 격상한 효과가 나타나는 데도 시간이 걸리는 만큼 그 효과를 지켜보고 (3단계 격상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판단할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일선 의료 현장에서 중증 환자들이 제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라고 당부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확진자 수가 완치자 수보다 많을 때에는 계속 병상이 소요되니 병상이 부족할 수 있는데 걱정하지 않을 만큼 충분히 대책이 있는가"라고 물었습니다.

이에 주 실장은 "향후 5일 정도까지는 예측이 가능하고, 매일 추가 병상이 만들어지는 상황이나 (확진자가) 지금의 2∼3배가 된다면 다른 대책이 필요할 것 같다"면서 "현재는 가용한 병상 안에서 무리 없이 운영하고 있다"고 대답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고령자나 기저질환자 등 중증환자의 기준이 있을 텐데, 중증환자는 최우선으로 병상으로 이송해 제대로 치료받을 기회를 갖지 못한 채 돌아가시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주문했습니다.

방역당국은 병상 문제보다 현장의 의료진 부족이 더 큰 문제라고 호소했습니다.

이 반장은 "병상이 부족한 것보다 중환자를 볼 수 있는 전문의와 이를 지원할 간호사의 절대적 숫자가 부족한 것이 문제"라며 "병상이 배정되지 않아 대기하던 환자가 사망했다는 등의 보도에는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