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캠퍼스의 봄 언제 오나…대학들, 줄줄이 원격수업 전환
입력 2020-08-28 14:32  | 수정 2020-09-04 15:0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로 대학들이 줄줄이 원격수업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원격수업이 2학기까지 이어지면서 부실 강의·수업료 감면요구 등의 논란이 되풀이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학도 등록률 하락 등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청주대는 이달 초 2학기 학사 운영계획을 세울 당시 전공과목 중심으로 대면 수업을 계획했지만, 거리두기 2단계 강화로 9월 한 달간은 실험·실습·실기 등 대면 수업이 불가피한 일부 과목을 제외한 모든 과목을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했습니다.

충북대도 처음 2주간은 대면 수업을 없앤 뒤 추후 방역당국 조치를 보면서 수업방식을 다시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우석대는 7주간 비대면 수업 방침을 정했습니다. 대면이 필요한 수업도 수강인원 20명 이하나 강의실 밀집도 50% 이내인 경우만 제한적으로 허용합니다.

충남대, 경상대, 창원대 등도 3주간 비대면 수업에 나섭니다.

인하대는 코로나19 특별휴학 신청을 받습니다. 확진·격리자와 비자발급 지연 등으로 입국에 어려움을 겪는 국내·외 학생이 대상입니다.


학생들은 비대면 수업의 필요성을 동의하지만 부실 강의, 등록금 감면 대책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경남대 총학생회 관계자는 "비대면 비율이 높을수록 수업의 질은 낮아진다"며 "등록금 감면 등에 대한 학생 의견을 수렴해 학교에 전달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최근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가 대학생 2천951명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는 93.7%가 2학기 등록금을 다시 책정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2학기에도 등록금 반환요구가 거세질 가능성이 엿보입니다.


반면 대면 수업 확대에 반발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부산대는 최근 2학기 학부·대학원의 대면 수업 비율을 39.9%로 하겠다는 학사 운영계획을 마련했지만, 학생들이 코로나19 감염 우려 등을 들어 반발했습니다.

이 대학 총학생회는 학생 7천829명 중 80.1%(6천279명)가 비대면 수업을 원한다는 설문조사 결과를 학교 측에 전달했습니다.


반면 대학들은 '반수', '입대', '휴학' 등으로 등록률이 떨어지면서 재정이 악화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입학한 1학년은 동기·선배 등을 접촉하지 못했고, 동아리·학생회 활동경험도 없는 '반쪽' 대학 생활로 학교에 대한 소속감이 낮은 상태입니다. 자칫 등록률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학들은 강의 수준 하락 논란 등을 의식해 원격과 대면을 혼합한 수업 비율을 확대 등을 검토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선 상태입니다.

동아대는 강의 특성과 강의실 환경을 고려해 다양한 수업방식을 내놓고 학생들이 수강 신청 때 수업방식을 선택하도록 했습니다.

또 동영상 강의 등을 지원하기 위해 자동녹화 강의실 20곳을 추가 설치했습니다.

다른 대학들도 동영상·화상 강의에 필요한 시설을 확충하는 등 원격수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창원대 관계자는 "교수들이 대학의 지원을 받아 동영상 강의를 사전 제작해 학생들이 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 화상 강의도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