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북한, 태풍 '바비' 이동경로 관심…기상청·기상수문국 미묘한 관측차
입력 2020-08-28 10:00  | 수정 2020-09-04 10:04
제8호 태풍 '바비'가 한반도에 거센 비바람을 뿌리고 지나가면서 북한에서의 태풍 이동경로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기상청은 바비가 황해남도 상륙을 시작으로 북한 내륙을 관통할 것이라고 경로를 제시했지만, 북한 기상수문국(기상청)에서는 태풍이 해상으로 이동했다고 보도해 차이를 보였습니다.


어제(27일) 북한의 기상청에 해당하는 기상수문국 통보를 종합하면 바비는 이날 오전 황해남도 용연반도와 남포시 앞바다를 차례로 거쳐 신의주 인근인 평안북도 철산반도에 상륙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태풍 이동경로를 시시각각 전하면서도 바비가 해상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빼놓지 않고 언급했습니다.

조선중앙방송은 태풍경보를 보도하며 "오늘 새벽 3시 경에 용연반도 남쪽 130㎞ 부근 해상, 6시경에 용연반도 서쪽 10㎞ 부근 해상, 9시경에 남포 서쪽 70㎞ 부근 해상을 거쳐 12시경에 신의주 부근으로 상륙해서 15시경에 중국 심양(선양·瀋陽) 부근으로 이동할 것이 예견된다"고 전했습니다.

평양시 상황을 전하면서는 "(태풍이) 용연반도를 지났다"고 표현하기는 했지만, 이후에는 "남포 앞바다를 지나는 태풍", "철산반도 남서쪽 20km 부근 해상" 등의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전날 조선중앙TV 날씨 코너에서 전한 태풍 예상경로 그래픽만 보더라도 바비가 해상을 통해 이동하며 북한을 스쳐 지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기상청이 예측한 바비의 이동 경로와는 미묘한 차이를 보입니다.

기상청은 이날 오전 바비가 황해남도 옹진반도에 상륙한 뒤 평안북도를 거쳤으며 중국 동북 3성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봤습니다.

기상청이 홈페이지에 공개한 바비의 이동 경로를 보면 태풍은 황해남도를 거쳐 평북 안주시 인근으로 이동했습니다.

기상청 관계자는 "바비는 27일 오전 5시 30분에 황해도에 상륙했다"며 "이후에는 해안선을 따라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후 예상 경로는 북한 기상수문국이 내놓은 신의주가 아니라 신의주와 강계 사이인 평북 벽동군 인근을 지나갑니다.

기상청은 위성사진 등을 통해 북한의 기상정보를 제한적으로만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분석에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태풍의 이동 경로는 변수가 많다는 점도 차이가 발생한 원인으로 꼽힙니다.

북한 기상수문국은 기상청보다는 다양한 현지 소식을 발빠르게 알 수 있어 이를 반영해 태풍 이동경로를 보도한 것으로 보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