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김용범 "극단적 봉쇄한 선진국, 극심한 후유증 겪어"
입력 2020-08-28 09:35  | 수정 2020-09-04 09:37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극단적 봉쇄(락다운)로 대응한 선진국이 그에 따른 극심한 후유증을 겪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이들 선진국이 봉쇄 조치로 급한 불은 껐지만 코로나19를 깔끔하게 없애지는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차관의 발언은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시행에 최대한 신중해 달라는 요청으로 분석된다.
봉쇄조치가 코로나19를 완전히 차단할 만큼 효과를 내지는 못하지만,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은 극심하다는 평가다.

2분기 중 한국이 받아든 경제성장률 성적표가 다른 선진국 보다 우수했던 것도 봉쇄조치를 취하기 이전에 코로나19를 차단한 덕분으로 분석하는 시각이 많다.
한국 경제는 2분기에 3.3% 역성장했지만, 봉쇄 조처를 내린 미국(-9.5%), 독일(-10.1%), 프랑스(-13.8%), 이탈리아(-12.4%), 스페인(-18.5%) 등보다는 타격이 덜했다.
이날 김 차관은 "접촉자 추적을 기반으로 한 K-방역체계는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현시점에서 코로나19와 싸우는 가장 효과적인 대안의 하나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는 9월 중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예고하기도 했다.
그는 "최근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심화하면서 회복세를 보이던 내수가 위축되고 서민경제 어려움이 가중되지 않을까 염려된다"며 "추석 연휴 기간 중 가족 간 대면접촉 증가, 대규모 이동에 따른 코로나19 위험 등을 빈틈없이 관리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데 역점을 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추석을 앞두고 코로나19로 오히려 시름이 늘고 있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의 어려움을 덜어 드리기 위해 금융·세정 지원 방안도 마련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상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