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NH증권의 결단…옵티머스 피해자 투자원금 최대 70% 돌려주기로
입력 2020-08-27 10:36  | 수정 2020-08-27 11:24

환매 중단 사태를 맞은 옵티머스자산운용 펀드의 최대 판매사인 NH투자증권이 피해 고객들에게 투자액의 최대 70%까지 차등해 유동성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피해고객 지원 방안을 놓고 투자자 지원과 주주가치 보호 사이에서 고심하던 NH투자증권 이사회가 나름 묘수를 도출했다는 평가다.
NH투자증권(대표이사 정영채)은 27일 오전 임시이사회를 열고 옵티머스펀드 가입고객에 대한 긴급 유동성 자금을 지원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에 의결한 안건은 고객의 투자금액 분포 비율과 함께 고객별 자금사정 및 자산현황 등을 고려해 가입금액 기준으로 최대 70%까지 차등 지원하는 방안이다.

개인 고객의 경우 3억이하 고객에게는 70%, 3억 초과 10억미만에는 50%, 그리고 10억 이상의 경우 40%를 지원한다. 법인에 대해서도 개인과 동일한 비율을 적용하되, 10억이상 법인에 대해서는 상대적인 유동성 여건을 감안해 30%만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전체 지원 규모는 1800억원 내외로 추산되며 이는 NH투자증권의 판매액 4327억원의 절반에 조금 못미치는 수준이다.
이번 결정은 개인과 법인 고객을 포함해 볼때 전체 투자자 중 3억 이하의 비중이 77%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했다는 게 NH투자증권측 설명이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단기 자금 운용을 위해 3억이하로 투자한 상대적 소액고객들의 경우 유동성 문제로 2차 피해가 발생한다는 고객들의 의견을 반영했다"며 "이들에게 더 높은 비율의 유동성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 당초 취지에도 부합한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여기에 올해 11월 부터 사모펀드의 적격 투자자 요건이 강화돼 최소 투자 금액이 3억원으로 상향되는 점을 감안, 이를 자산 유동성 및 위험감내력의 기준으로 보고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펀드 만기가 도래한 고객들에 한해 유동성 지원 자금을 신청할 수 있으며, 자금 수령 후에도 분쟁조정 신청 및 소송제기가 가능하다. 구체적인 사항은 고객들에게 개별적으로 안내할 예정이다.
NH투자증권측은 "판매사로서의 도의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조처로, 고객들의 유동성 문제로 인한 2차 피해를 줄여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장기적 경영 관점에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고객 신뢰 유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말했다.
앞서 이번 지원안 도출하기 까지 NH투자증권 이사회는 내부적으로 적잖은 진통을 겪어 왔다. 사외이사 등 주요 이사진들이 고객 보호와 주주 가치 훼손 우려 사이에서 고민하며 쉽사리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이로 인해 박상호 사외이사 등 일부 사외 이사들이 일신상의 사유를 들어 이사직에서 사퇴했다. 특히 사회이사뿐 아니라 농협측 인사로 분류되는 이정대 비상임 이사까지 의사결정 과정의 부담감 때문에 사임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이사회 의사 결정 어려움을 겪어 왔다.
하지만 정영채 대표를 비롯한 경영진들이 "장기적 경영관점에서 주주가치 제고도 결국 고객 신뢰에 비롯된다"며 이사진을 지속적으로 설득했고, 차등적 지원안이란 명분도 만들어 이사회 통과를 이끌었다는 후문이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지원안에 따라 지급될 유동성 공급 금액 만큼 재무상태표에 가지급금으로 우선 계상하고 추후 회수 가능금액이 가지급금보다 적을 경우 차액분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설정할 계획이다. NH투자증권은 선제적으로 이미 6월말에 일부 금액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두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