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수도권 철도·도로 등 공공 유휴지 생활물류시설로 공급…29개 부지 연내 공급 추진
입력 2020-08-26 09:09 

최근 온라인 유통시장 확대와 코로나19 장기화 영향으로 급증하는 생활물류 물동량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공공시설 유휴부지를 생활물류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생활물류 수요 증가 추세 속에 높은 지가, 입지 규제 등으로 신규 공급이 정체된 도시 물류시설 확충을 위해 공공기관 등이 보유·관리 중인 유휴부지를 공급한다고 26일 밝혔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지난 6월 지자체(서울시·인천시·경기도)와 공공기관(한국도로공사·LH·한국철도시설공단·코레일·SR), 서울교통공사, 통합물류협회와 '생활물류 협의체'를 구성, 총 29개소(▲도시철도 차량기지 10개소 ▲지하역사 4개소 ▲광역·일반철도역 유휴지 10개소 ▲철도교 하부 1개소 ▲고속도로 고가교 하부 3개소 ▲폐도부지 1개소) 12만5000㎡ 규모의 장기 미사용 부지를 발굴했다.
협의체는 해당 29개 유후부지 대상 물류업계 수요조사와 진입도로 개설 상황 등 부지 여건에 대한 확인을 거쳐 즉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부지의 경우 연내 우선 공급하고, 진입도로 설치와 부지정리 등 추가 기반시설 조성이 필요한 공공 유휴부지는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대상 부지는 업계 수요, 부지 규모·특성, 공급 시급성 등을 감안해 택배 지원 물류시설(서브 터미널, 분류장 등) 중심으로 공급하되, 지하에 위치한 서울 도시철도역사 등은 중소 유통·물류업체의 도심 보관시설로도 활용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달까지 유휴부지에 대한 공공기관·물류업계 합동 현장 실사를 거쳐 공급대상을 최종 확정하고, 관계기관 합동 평가·선정·운영 등을 위한 통합기준 마련 후 공모 절차를 통해 해당 부지를 택배업체 등에 연내 공급할 계획이다.
한성수 국토교통부 첨단물류과 과장은 "생활물류 협의체 운영 등을 통해 유휴부지 추가 발굴을 지속하고 제도개선을 비롯한 행정적·재정적 지원방안도 마련하는 등 국민들이 생활물류 서비스 질 향상을 체감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조성신 기자 robgud@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