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8월 세종 주택매매가 `역대급 상승`…전세는 매물 부족 심화
입력 2020-08-25 12:53 

세종시 아파트단지 전경 [사진 매경DB]
8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78% 올랐고, 주요 50개 아파트의 상승세도 3개월 연속 상승했다. 다만 상승 기울기는 살짝 내려앉은 모습을 보였다. 행정수도 이전 이슈로 세종(6.44%)은 역대급으로 올랐다.
전세시장은 임대차 3법 발표 즈음 상승세가 절정을 보였지만, 대책의 효과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는 진단이 나왔다.
25일 월간 KB주택시장동향자료에 따르면, 수도권(1.09%)은 전월 대비 상승폭이 줄기는 했지만 여전히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5개 광역시(0.41%)도 전월과 유사한 상승률을 보였다.
기타지방(0.37%)에서는 세종(6.44%)이 매우 높게 상승했고, 경남(0.28%), 전남(0.24%), 경북(0.16%), 충남(0.12%), 강원(0.09%), 충북(0.06%), 전북(0.04%)까지 모두 상승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0.93%), 인천(0.44%)도 상승한 데 이어 서울(1.50%)은 지난달(1.45%)보다 상승폭이 컸다.

서울 아파트는 2.05%로 지난달보다 상승세가 살짝 꺾였다. 연립주택(0.88%)과 단독주택(0.62%)도 상승을 유지하면서 전체 주택으로는 1.50%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천을 제외한 지방 5개 광역시 중에서는 대구(0.71%)의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이어 대전(0.52%), 부산(0.34%), 울산(0.32%)이 뒤를 이었다. 광주(0.04%)의 상승률은 보합에 가까웠다.
서울은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상승세(전월대비 1.50% 상승)를 이어갔지만 지난달보다 대체적으로 상승폭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노원구(3.04%)와 은평구(2.23%), 송파구(2.21%), 도봉구(2.21%) 등이 높게 상승했고 하락한 지역은 없다.
경기(0.93%)와 인천(0.44%)은 지난달보다는 상승폭이 둔화됐다. 정부 정책으로 인한 안정화 방향대로 흐르는 모습이다.
경기지역은 수원 영통구(2.24%), 성남 분당구(2.09%), 구리(2.03%), 고양 덕양구(1.60%)의 상승률이 높게 집계됐고 하락한 지역은 없다.
다만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대비 0.52% 상승을 기록했다. 수도권과 광역시는 전세부족이 더욱 심화되고, 지방까지도 전세 부족을 보이면서 전국의 전세가격 상승세가 높아졌다. 수도권(0.76%)도 전월대비 상승폭 소폭 커졌다. 5개 광역시(0.27%)는 상승, 기타 지방(0.22%)도 상승했다.
5개 광역시에서는 대전(0.47%),대구(0.35%), 울산(0.23%), 광주(0.22%), 부산(0.15%)까지 모두 상승했다.
서울 전셋값(1.07%)은 임대차 3법 시행 전부터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매매가격과 동반 오름세를 이어갔다. 송파구(2.79%), 성동구(2.15%), 은평구(2.09%),중구(1.57%), 동작구(1.40%)는 상승했고 하락한 지역은 없다.
경기도는 전월대비 0.65% 상승했다. 수원 영통구(1.67%), 성남 분당구(1.61%), 광명(1.31%), 남양주(1.27%) 등이 상승했지만 파주(-0.08%)가 홀로 하락했다.
전세 전망지수는 세종(152)과 서울(140), 경기(133) 지역 순으로 높았다. 광역시 중에는 광주(105), 도지역에서는 전북(106)지역 전망지수가 가장 낮았다.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가격 전망지수는 전국 4000여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지역의 가격이 상승할 것인지 하락할 것인지에 대한 전망 조사로 0~200 범위의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지수가 100을 초과(미만)할수록 '상승(하락)'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KB부동산 관계자는 "지난달 서울의 전세가격 전망지수가 기준점인 100을 훌쩍 넘는 140으로 지난달 132보다 더 높아지면서 전세가격이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가장 낮은 광주도 105를 기록하면서 모든 지역의 전망지수가 100을 상회, 임대차 3법 이후에도 전세가격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좀 더 많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7월 14일~8월 10일까지 진행됐다.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