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광화문 집회 관련 연락 두절·검사 거부 1천 299명
입력 2020-08-23 16:38  | 수정 2020-08-30 17:04

서울시는 8·15 광화문 집회 참석자와 인근 체류자를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 여부를 조사 중인 가운데 연락이 되지 않거나 검사를 거부한 사례가 1천 299명으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습니다.

시는 지난 21일 저녁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로부터 광화문집회 장소 인근에 30분 이상 체류한 것으로 보이는 휴대전화번호 1만 576건의 명부를 받아 중복된 번호 등을 제외한 6천 949건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22일까지 80%가량 조사를 마친 결과, 시는 대상자 중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은 경우는 1천 622명(29.3%)이고 이 중 17명이 양성, 1천 400명이 음성 판정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시는 전화 통화가 안 되고 검사를 명시적으로 거부한 사례 1천 299명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를 마무리한 뒤 경찰청의 협조를 받아 직접 방문해 강제조사를 벌이는 등 엄정하게 대처할 계획입니다.


또한 검사율을 높이기 위해 이태원클럽발 집단감염에서 처음 시도한 '익명검사'를 다시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여러 이유로 신상 공개를 원치 않는 이들이 휴대전화번호만 적고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23일 브리핑에서 "8월 15일 광화문 집회에 참석했던 분은 물론, 인근 방문자들께서도 오는 26일까지 3일 내에 가까운 보건소 등 선별진료소에서 반드시 진단검사를 받아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만약 검사에 응하지 않을 경우, 확진 시 치료비용 전액을 청구하고 추가 확산 시엔 방역 비용에 대해서도 구상권을 청구하는 등 그에 따른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집단감염이 발생한 사랑제일교회와 관련해서는 서울에서 총 2천 93명이 검사를 받았습니다.

서 권한대행은 "사랑제일교회에서 확보한 교인명부, 예배참석자, 교회 숙식자 명단, 8.15 행사 관련 계획과 회의록 등 자료들은 중수본이 총괄하고 검경과 서울시 등이 투입돼 분석 중"이라며 "추가로 확인된 명단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검사받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