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식약처, 사전상담과·신속심사과 신설
입력 2020-08-18 10:52 

정부가 국내 의료제품의 허가·심사 전문성을 강화하고 신속한 제품화를 지원하기 위해 관련 체계를 대폭 개편했다.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사전 상담과 신속 심사를 맡는 조직을 신설해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치료제와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의 백신에 대한 심사를 단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행정안전부와 함께 그같은 내용으로 의료제품 허가·심사 체계를 개편했다.
우선 그동안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이 수행하던 허가 업무는 식약처 본부 차장 아래 신설되는 허가총괄담당관과 첨단제품허가담당관 등 2개 과에 맡는다. 허가총괄담당관은 생약과 한약제제를 포함한 의약품에 대한 허가와 의료제품 전반의 허가·심사 제도 개선을 총괄한다.
첨단제품허가담당관은 융·복합 의료제품과 의약외품을 포함한 바이오의약품과 의료기기 허가 업무를 담당한다. 심사 업무를 계속 맡는 평가원에는 원장 밑에 사전상담과와 신속심사과 2개 과가 신설·운영된다. 사전상담과는 신속 심사 대상인 의약품과 의료기기, 신약 임상시험 계획과 품목 허가 신청에 대한 사전 상담을 맡는다. 현재 식약처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치료제나 신종 감염병 백신, 디지털 기반 의료기기 등 공중보건 위기에 대응하거나 질병 치료에 기여하는 혁신 신약과 혁신 의료기기에 대해 신속 심사를 적용하고 있다. 신속심사과는 의약품과 의료기기, 신약의 신속 심사 지정 신청에 대한 자료 검토 등을 수행한다.
식약처는 또 첨단 바이오의약품과 혁신 의료기기 허가·심사, 첨단 재생의료와 관련한 고위험 임상시험 연구 계획을 심사하는 등 신규 업무를 위해 분야별 전문가를 확충하고 맞춤형 심사체계도 도입하기로 했다. 행안부와 식약처는 이번 개편으로 의약품 제품화 기간이 단축되면서 환자 치료 기회가 확대되고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