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朴전시장 피해자측 "비서실 사람들 무책임하게 여론 호도"
입력 2020-08-17 17:08 
2017년 6월 15일 서울시 담당 과장과의 인사요청, 성고충 면담 약속한 텔레그램 대화 장면.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을 업무상 위력에 의한 강제추행 혐의로 고소한 피해자 측이 "서울시 관계자들의 증거인멸과 역대 비서실장들이 나서서 언론 발표를 하며 선한 증언자의 증언을 가로막는 행위에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실제 피해자가 서울시 관계자들과 나눈 메시지까지 공개하며 피해자가 수차례 인사이동 요청을 한 것은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2017년 6월 15일 서울시 담당 과장과의 면담 후 상사와의 대화 장면.
17일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의전화 및 피해자지원 공동변호인단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피해자가 고충을 호소한 서울시청 6층 사람들 중 일부가 피해자와 주고받은 텔레그램 내용 전체를 삭제하는 행위, 텔레그램에서 탈퇴하는 행위를 통해 증거인멸을 시도하고 있음에 유감을 표명한다"며 "서울시청 관계자 중 일부는 거짓말 탐지기 거부, 대질조사 거부, 핸드폰 임의제출 거부를 하고 있다. 증거에 기초하지 않은 채 '알지 못했다, 듣지 못했다'는 무책임한 말로 여론을 호도하는 것은 시장실 6층 관계자들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밝혔다. 오성규 전 서울시장 비서실장이 이날 입장문을 통해 "피해자가 현 상황을 악의적으로 이용하는 것 아닐까 하는 강한 의구심이 든다"고 발언한 것을 비판한 것이다.
2019년 6월 28일 당시 서울시 5급 상사와의 텔레그램 대화 장면.
피해자 측은 실제 피해자가 서울시 관계자와 나눈 텔레그램 대화내용을 공개하며 "피해자의 인사고충을 들은 담당 과장은 피해자에게 '자신이 쫓겨나더라도 다음 인사 때에는 (비서)실장님, 시장님을 설득해서 다른 곳으로 전보해 주겠다'고 이야기했으나, 그는 경찰 대질 조사에서 그와 같은 기본적 사실조차 부인했다"며 "피해자가 비서실을 나가는 것으로 결정된 2019년 6월 한 서울시 관계자는 피해자에게 '이번엔 꼭 탈출하실 수 있기를'이라는 응원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고 말했다.
2017년 10월 25일 서울시 인사 담당 주임과의 텔레그램 대화 장면.
피해자 측은 '꼭' '탈출'이라는 단어가 피해자의 지속적 인사이동 요청을 확인해주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또 "2018년 11월 2일자 비서실 인사검토보고서 관련 오 전 비서실장은 검토보고서를 박 전 시장에게 보고했지만 박 전 시장이 피해자에 대한 전보요청만 불승인했고 오 전 실장은 인사담당 직원에게 '시장님 의중이 무엇인지 곰곰이 생각해보란 말이야'라는 말까지 했다"며 "그럼에도 시청 6층 관계자들이 본 동 문건을 마치 자신들이 먼저 피해자를 인사이동 시키기 위해 작성한 문건인 것처럼 언론에 공표한 바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피해자 측은 그 증거로 피해자와 인사담당 주임이 나눈 대화 내용을 공개했다. 메시지를 보면 피해자는 "저 나가는 거 과장님께서 비서실장님께 말씀 드리셔서 워크샵에서 실장님께서 남아주면 좋겠다고 하신 상태라 고민이 많이 되는 상태"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끝으로 피해자 측은 "피해자의 주장은 사실 및 증거에 기초한 것"이라며 "인터넷상 허위사실 유포행위는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명백한 2차 가해 행위인 바 여성가족부와 서울시가 여성폭력방지기본법에 의거한 적극 조치를 취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차창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