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서울만 `36만가구 공급` 한다는데…정비사업 100% 계획대로 돼야 가능
입력 2020-08-13 17:31 
◆ 부동산대책 후폭풍 ◆
정부의 주택 공급 대책에 따라 올해부터 수도권에 127만가구 주택이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서울시 36만4000가구, 인천시 15만1000가구, 경기도 75만700가구 등이 계획됐다. 특히 올해는 서울과 수도권에서 17만9000가구의 새 아파트가 분양 시장에 나올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1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수도권 공급계획'을 내놨다. 연이은 대책으로 공급 예정 물량 통계가 복잡하자 이를 정리한 것이다. 2017년 발표한 '주거복지로드맵'부터 올해 '8·4 대책' 공급계획까지 담았다. 재개발·재건축 예정 물량도 포함됐다. 서울의 경우 공공택지 11만8000가구와 정비사업 20만6000가구 등 36만가구 공급계획이 잡혔다. 공공택지에서 공급하는 물량은 강남에 6만가구, 강북에 5만1000가구가 예정됐다.
4만1000가구가 들어서는 동남권에선 고덕강일(1만2000가구), 서울지방조달청(1000가구) 등에 공급된다.
서울시는 공공택지를 통한 입주자 모집 물량은 올해 1만3000가구를 시작으로 2021년 1만가구, 2022년 1만3000가구를 내놓을 예정이다. 특히 사전청약제를 태릉CC 등에도 적용해 공급 일정을 앞당길 계획이다.

또 서울시와 국토부는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통해 20만6000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기존 정비사업장에서 11만6000가구(입주자모집 기준)가 공급될 계획이며, 공공재개발 및 공공참여형 고밀 재건축을 통해 9만가구를 예정했다.
하지만 정부의 이 같은 청사진이 '장밋빛'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우선 9만가구가 예정된 공공재개발과 공공참여형 고밀 재건축은 조합을 끌어당길 매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서울에서만 11만가구에 달하는 공공택지 개발계획도 주민 반발 등을 고려하면 '100%' 모두 시장에 나올지 미지수다.
[손동우 부동산전문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