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올해 사상 처음으로 7월 평균기온이 6월보다 낮은 '역전현상' 발생
입력 2020-08-13 13:51  | 수정 2020-08-20 14:04

올해 사상 처음으로 7월 평균기온이 6월보다 낮은 '역전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오늘(13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6월은 때 이른 폭염으로 평균기온이 역대 1위를 기록했으나, 7월은 매우 선선해 전국 기상관측을 시작한 1973년 이후 처음으로 7월 평균기온(22.7도)이 6월(22.8도)보다 낮은 역전현상이 발생했습니다.

6월과 7월의 평년 기온은 각 21.2도와 24.5도입니다.

올해 1∼7월 평균기온은 역대 3위지만, 월별 기온 변동이 매우 컸습니다. 1∼3월과 6월은 상위 3위 안에 들었으나 4월과 7월은 44위로 뚝 떨어졌습니다.


들쭉날쭉한 우리나라와 달리 전 세계 1∼6월 평균기온은 역대 2위로 월별 큰 차이 없이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지난 6월 1일부터 지난 10일까지 여름철 전국 강수량은 879.0mm로 평년(470.6∼604.0mm)보다 많아 역대 2위를 기록했습니다. 여름철 전국 강수량이 가장 많았던 해는 2011년 942.2mm입니다.

올해는 중부와 제주에서 최장 장마 기간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중부는 오는 16일 장마 종료 시 장마 기간이 54일로 앞서 1위였던 2013년 49일보다 5일 더 많아집니다.

지난 1월부터 지난 10일까지 강수량은 1천193.5mm로 역대 3위입니다. 월별로는 1월 2위, 7월 6위, 8월 1∼10일 2위이고, 3월과 4월은 각 41위와 43위입니다.

기상청은 지난 6월 말부터 우리나라 주변의 대기 상·하층에 찬 공기가 정체하면서 지난달 기온이 낮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여기에 기온·습도가 높은 공기(북태평양고기압)의 북쪽 확장이 지연돼 북쪽의 찬 공기와 만남에 따라 남북으로 폭이 좁은 형태의 정체전선이 우리나라를 오르내리며 집중호우와 함께 장마철이 길게 이어졌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은 북극에서 고온현상이 발생한 데 따른 것입니다.

제트기류(상층의 강한 바람띠)가 약해지면서 중위도 기압계의 변동이 커졌고, 이때 우랄산맥과 중국 북동부에 고압대가 발달해 동서 흐름은 느려져 우리나라 주변에 계속해서 찬 공기가 위치하기 좋은 조건이 만들어졌습니다.

북극의 고온현상은 지난 6월 말 동시베리아에서 발생한 블로킹(고위도 지역에서 정체하거나 매우 느리게 이동하면서 주변 대기의 흐름을 막는 온난 고기압)에서 분리된 고기압이 북서진해 북극에 정체한 가운데, 시베리아 고온현상으로 인한 열파로 랍테프해와 바렌츠해의 해빙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해양에서 대기로 열 공급이 많아져 발생했습니다.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지난 1∼6월의 시베리아의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5도 이상, 6월은 10도 이상 높았습니다. 특히 지난 6월 20일에는 러시아 베르호얀스크의 최고 기온이 38도 달했습니다.

기후학자들은 이 같은 폭염이 '인간이 기후변화에 미친 영향이 없었더라면 일어나지 않았을 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기후변화 속에서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은 최근(2011∼2019년)이 과거(1912∼1920년)보다 1.8도 상승했고 강수량은 86.1mm 증가했습니다.

미래 온실가스 배출 정도에 따라 21세기 말(2071~ 2100년)에는 평균기온이 현재(1981∼2010년) 대비 1.7∼4.4도 상승하고 연평균 강수량은 6.6∼13.2% 증가하겠다고 기상청은 전망했습니다.

기상청은 "미래에는 폭염·열대야·여름일수와 같은 고온 극한기후지수가 증가하고 한파·결빙·서리일수와 같은 저온 극한기후지수는 감소할 것"이라며 "5일 최다강수량, 강수 강도와 같은 호우 극한기후지수는 다소 증가하겠다"고 예측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