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장대비 쏟아진 전북 완주군 마을 '선제 조치'로 저수지 둑 지켜내
입력 2020-08-08 16:30  | 수정 2020-08-15 17:04

8일 오전 시간당 51㎜의 장대비가 쏟아진 전북 완주군 소양면 죽전리 분토마을에는 긴장감이 감돌았습니다.

전날부터 이날 정오까지 320㎜ 가량의 집중호우가 쏟아져 마을 상류에 있던 본토 저수지 제방이 혹시나 무너지지 않을까 주민들은 저수지 쪽을 예의주시하며 애간장을 녹였습니다.

이날 오전 9시 43분, 마을 방송에서는 "저수지 범람 위험이 있으니 마을회관이나 면사무소 등으로 즉시 대피하라"는 대피 명령이 흘러나왔습니다.

본토 저수지 둑이 무너질 경우 직접적 피해가 예상되는 하류 지역 주민 10여명은 간단한 옷가지 등을 챙겨 황급히 마을회관으로 대피했습니다.


대피 명령이 떨어진 지 얼마 후 저수지 물이 범람하기 시작했습니다.

하류로 물이 흘러내렸지만, 소하천이 견뎌낼 수 있는 양이었고, 제방도 무너지지 않고 버텨냈습니다.

집중호우가 며칠째 이어지자 붕괴를 우려한 마을 주민들의 숨은 '선제 조치' 덕분이었습니다.

이 마을 임성호 이장과 주민 임재복씨 등은 며칠째 이어진 비에 "저수지 물이 곧 넘칠 것 같다. 심상치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들은 저수지 제방이 무너질 것을 우려, 전날 오후 지반이 약해지거나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아진 둑에 대형 방수포 여러 장을 씌운 데 이어 이날 오전에는 양수기 2대를 동원, 물을 빼내는 등 혼신의 노력을 다했습니다.

마을 주민들은 "저수지 물이 범람하면서 일부 주택(4가구)에서는 약간의 피해가 있긴 했지만, 인명피해가 없어 천만다행"이라며 "주민들이 합심해서 자칫 붕괴할 수 있는 저수지 둑을 지켜냈다"며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1945년 흙댐 형식으로 건설된 분토 저수지는 제방 길이 70m에 높이 6.3m로 총저수량만 12만3천t에 육박합니다.

완주군 관계자는 "주민들이 대피령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대피하고 저수지 둑에 방수포를 덮는가 하면 양수기까지 동원해 제방 붕괴와 범람을 최대한 막아냈다"면서 "비가 소강상태에 접어들었지만,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