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교통公 상반기 적자만 5000억 육박…커지는 서울 지하철 요금 인상 압력
입력 2020-08-02 06:03  | 수정 2020-08-09 06:07

코로나19로 인한 운송수입이 대폭 감소함에 따라 올해 상반기 서울교통공사의 당기순손실이 5000억원 규모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4년간의 평균 당기순손실과 비교하면 6개월만에 연간 손실에 근접한 수준이다. 재정 개선의 출구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이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경우 결국 서울 지하철 요금 상승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당기 순손실은 4817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4년간(2016~2019년) 평균 당기순손실인 5022억원에 준하는 수준이다. 2016년 당기순손실 액수인 3580억은 이미 뛰어넘었다. 지난해 전체 당기순손실이 5865억이었던 점에 비교하면 4000억원을 훨씬 뛰어넘는 상반기 적자 폭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적자의 주된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운수수입 감소와 무임승차 손실분이다. 올해 상반기 기준 서울교통공사의 일평균 운수수입은 34억4800만원으로 전년도 수치(45억7900만원)보다 10억이 넘게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전체 운수수입은 6275억9500만원으로 전년도 운수수입(1조6713억8800만원)의 37%에 불과하다. 무임승차 손실도 상반기에만 1333억6100만원이 발생했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올해 공사의 적자 규모를 9400억원으로 예측하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데 있다. 백신이 나오기 전까지는 코로나19로 인한 운수수입 감소는 지속될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최근 실시된 더불어민주당-서울시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서울시의 단골 요구 사항이었던 '무임승차 손실분 국비 지원' 요청도 중앙정부가 계속 응답하지 않고 있어 올해 무임승차 손실분도 보전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코로나 이전에도 공사는 매년 5000억 정도의 적자를 낸 탓에 코로나19를 버틸 수 있는 재정 상태도 아니다. 서울교통공사는 최근 매년 연말 수입과 지출을 정산해 적자가 나는 금액 만큼을 서울시 재정 투융자기금을 통해 시로부터 빌리고 있다. 일단 연초에 예산이 들어오기 전까지 적자분을 융자로 메우는 형편인 것이다. 시 투융자기금은 한달 이내에 갚아야하는 일시 차입금 성격으로, 교통공사로서는 일단 빌린돈을 갚고 그 액수만큼 다음해 예산에서 깎는다. '아랫돌 빼서 윗돌 괴기'인 셈이다. 서울교통공사가 서울시로부터 빌린 돈은 2018년 700억에서 2019년 1750억으로 확대 일로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운수수입 감소가 예정돼 서울시로부터 빌려야할 금액이 더 커질 수 밖에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코로나19라는 외부 변수와 매년 적자를 낼 수 밖에 없는 요금 구조를 고려하면 '요금 인상' 밖에는 공사 재정 개선의 묘수를 찾기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서울 지하철 요금은 2015년 1050원에서 1250원으로 1차례 인상된 이후 계속 묶여있다. 2016년 이후 수송원가가 기본운임보다 높은 구조가 계속돼 서울교통공사로서는 운행을 하면 할 수록 손해가 나는 구조다. 요금 인상 직후인 2016년 371원이었던 탑승객 1명당 적자액은 지난해 494원까지 불어났다.
이같이 서울 지하철 요금이 인상 압력을 받고 있지만, 요금 인상 결정권을 쥐고 있는 서울시는 당장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수도권통합환승요금제에 따라 요금체계가 경기도와 인천시랑 엮여 있어 급하게 추진할 수도 없는데다가, 코로나19로 민생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요금 인상까지 할 경우 비판 여론에 부딪힐 수 있어서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서울 지하철은 운행을 할 수록 적자가 나는 구조이고, 코로나19로 공사 재정 상태가 빠르게 악화하고 있는 것도 맞다"며 "요금 인상은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검토해온 바 있지만 아직 코로나19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계획을 내놓은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현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