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기 판단지수 1999년 이후 최저…소비는 코로나 이전 회복
입력 2020-06-30 09:15  | 수정 2020-07-07 10:0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수출 타격 등으로 지난달 산업생산이 감소하고, 투자도 줄었습니다.

반면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생활방역 전환 등 정책 효과로 인해 소비가 두달 연속 증가하며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까지 회복했습니다.

통계청이 오늘(30일) 발표한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5월 전(全)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1.2% 감소해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광공업 생산이 6.7% 감소했습니다. 2008년 12월(10.5%) 이후 최대폭 감소했던 4월(-6.7%)과 동일한 감소율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수출 타격으로 제조업 생산이 6.9% 줄어든 영향이 컸습니다. 감소 폭이 지난 4월(-7.0%)과 비슷했습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10.8%)와 기타운송장비(3.1%)는 증가했으나 자동차(-21.4%), 기계장비(-12.9%) 등이 크게 줄었습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63.6%)도 전월보다 4.6%포인트 하락, 2009년 1월(62.8%) 이후 11년 4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제조업 재고율(재고/출하 비율)(128.6%) 역시 전월보다 8.6%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이는 1998년 8월(133.2%) 이후 최고치로, 재고는 전월과 같았으나 출하가 줄어든 영향을 받았습니다.

반면 서비스업 생산은 2.3%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2월과 3월 크게 감소했으나 4월(0.5%)에 상승 전환한 데 이어 5월 초 생활방역으로 전환한 영향으로 5월에 증가폭이 커졌습니다. 다만 여행업, 항공업, 운수업 등 타격이 큰 업종이 있어서 코로나19 이전 수준까지 반등하진 못했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숙박·음식점(14.4%), 예술·스포츠·여가(10.0%), 협회·수리·개인(9.5%), 도소매(3.7%), 운수·창고(1.5%), 교육(1.5%) 등 모든 업종에서 늘었습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전월보다 4.6% 증가하며 두 달째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는 긴급재난지원금 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코로나19 이전 수준까지 반등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


승용차 등 내구재(7.6%), 의복 등 준내구재(10.9%), 차량 연료 등 비내구재(0.7%) 판매가 모두 늘었습니다.

업태별로 보면 대형마트(-10.6%), 면세점(-0.5%)은 줄었지만 전문소매점(10.5%), 승용차·연료소매점(7.7%), 무점포소매(4.9%), 백화점(4.4%), 슈퍼마켓·잡화점(2.2%), 편의점(3.7%)은 증가했습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통계동향심의관은 "업태별로 보면 가구나 안경 같은 전문소매점 판매가 크게 늘어난 점 등이 다른 시기에 비해 재난지원금 효과가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며 "재난지원금 효과를 부정하기 어려우나 앞으로 그 효과가 계속될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5.9% 줄어들며 하락으로 돌아섰습니다. 지난 1월(6.8%) 이후 4개월 만에 최대 감소입니다. 자동차 내수 출하와 수입 등이 줄면서 운송장비(-16.1%)가 크게 줄었고, 기계류 투자도 1.7% 감소했습니다.

다만 통계청은 "전체적으로 설비투자는 코로나19 영향이라기보다 일상적인 등락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건설업체가 실제 시공한 실적인 건설기성 역시 4.3% 감소했습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8포인트 하락한 96.5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외환위기 여파가 있었던 1999년 1월(96.5) 이후 21년 4개월 만에 최저치입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보다 0.3포인트 떨어진 98.9였습니다. 2019년 8월(98.9) 이후 9개월 만에 최저입니다.

안 심의관은 "동행지수,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장기 추세에서 많이 벗어났으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낙폭은 외환위기 때를 따라가진 못 하지만 금융위기 때 정도로 충격이 큰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