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상직 의원 지분 포기에도 이스타항공 M&A 안갯속인 이유는
입력 2020-06-30 09:00  | 수정 2020-06-30 09:11
지난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소재 이스타항공 본사에서 열린 긴급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최종구 이스타항공 대표이사가 답하고 있다. [사진 = 매경DB]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 측이 지난 29일 이스타항공 지분을 헌납하겠다고 밝히며 인수 주체인 제주항공의 빠른 결단을 촉구했지만, 인수합병(M&A)은 여전히 안갯속이란 평가가 나온다.
3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 최대주주인 이스타홀딩스의 보유 지분은 38.6%로, 지분 가치만 약 410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지분 포기 방식 등 세부사항은 제시되지 않아 혼선이 일고 있다. 이스타항공 측은 이스타홀딩스의 이스타항공 주식 포기 방식에 대해 "실무에서 검토가 필요하다"고만 밝힌 상황이다.
이스타홀딩스는 이 의원의 두 자녀가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다.
문제는 이 의원 측의 이 같은 결단이 이스타항공과 제주항공과의 M&A에 동력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5개월째 임직원 임금이 체불된 이스타항공은 앞서 제주항공에 "이스타항공 모회사인 이스타홀딩스와 제주항공이 체불 임금을 절반씩 부담하자"고 제안했지만, 제주항공 측은 "임금 체불은 이스타항공 경영진이 책임질 일"이라며 거절했다.
이후 이 의원의 이스타항공 지분 포기가 결정되자, 김유상 이스타항공 경영본부장은 전일 오후 서울 강서구 소재 본사에서 열린 긴급 기자간담회에서 "매각 대금을 (이 의원 측이) 회사에 내고 그 돈으로 체불 임금도 해소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고 밝혔지만, 이 역시 현재 250억원대인 체불 임금 해결 방법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주항공은 지분 포기 방식과 임금 체불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 방법을 M&A 선행 조건으로 보고 있는데 반해, 이 의원 측의 지분 헌납은 매각에 따른 이익을 포기하는 셈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직접적인 체불 임금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이스타항공 측은 제주항공과의 M&A가 마무리되면 지난 2월부터 미지급된 체불 임금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의원 측의 이스타항공 지분 가치 410억원에서 전환사채(CB) 200억원과 세금 70억원, 부실 채권 정리 비용 110억원 등을 제외하면 이스타항공에 남는 금액은 30억원 정도라 제주항공의 실익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스타홀딩스의 보유 지분을 차등 감자 후 이스타항공 신주 발행 시 제주항공이 이를 사는 식으로 매각 방식이 바뀌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긴급 기자회견에 참석한 최종구 이스타항공 대표이사가 제주항공 측에 "당초 내걸었던 M&A 약속을 확실하게 이행해 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제주항공은 이 의원 측의 지분 헌납으로 계약 내용이 일방적으로 변경된 만큼 분명한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업계는 양측의 입장차가 분명한 만큼 M&A가 무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최 대표가 "현재 이스타항공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제주항공은 자유롭지 않다. 제주항공과의 M&A 진행에 따라 정부 지원을 받을 자격도 없어졌다"면서도 "정부에 과감한 지원을 요청한다"고 밝혀 M&A 실패를 염두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배윤경 기자 bykj@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