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뉴스추적] '추다르크' 작심 발언에 시끌…윤석열 입지 흔들
입력 2020-06-28 19:31  | 수정 2020-06-28 20:04
【 앵커멘트 】
윤석열 검찰총장을 직접 겨냥한 추미애 법무장관의 발언이 지난주를 뜨겁게 달궜습니다.
검찰 출입하는 이성식 기자와 함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 질문1 】
추 장관이 윤 총장을 향해서 이례적일 정도로 강도가 쎈 발언을 내놨죠?

【 기자 】
지난 25일 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들과의 간담회에서 나온 발언인데요.

가장 논란이 됐던 부분 들어보시죠.

▶ 인터뷰 : 추미애 / 법무부 장관 (지난 25일)
- "저의 지시 절반을 잘라먹었죠. 새삼 지휘랍시고 해서 일을 더 꼬이게 만들었잖아요. 역대 법무부 장관이 말 안 듣는 검찰총장이랑 일을 해본 적도 없고…."

법무장관이 공개석상에서 책상을 내리치며 검찰총장을 아랫사람 대하듯이 언급하는 건 거의 전례를 찾기 힘들 것 같습니다.

사실상 자진 사퇴를 압박한 것이란 해석까지 나오는 상황인데요.

추 장관은 하루 전에도 사실상 '금기어'까지 사용하며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 인터뷰 : 추미애 / 법무부 장관 (지난 24일)
- "각종 예규, 또는 각종 규칙을 통해서 위임의 취지에 반하도록 자기 편의적으로 조직을 이끌어가기 위해서 법 기술을 부리고 있다…."

【 질문2 】
윤 총장이 법 기술을 부리고 있다는 거죠?
이렇게 강한 화법에 반발도 있을 것 같은데요?

【 기자 】
미래통합당은 추 장관의 '인성'까지 거론하며 비판을 했습니다.

▶ 인터뷰 : 김종인 / 미래통합당 비대위원장 (지난 26일)
- "나는 인성의 문제라고 봐요. 가장 충실하게 자기 직책 수행하는 사람이 지금 검찰총장…국회가 다시 거꾸로 발전하는 게 아니냐는 그런 인상도 받습니다."

보수정당뿐 아닙니다.

보통 검찰에 비판적인 진보정당도 이번에는 추 장관을 비판했습니다.

▶ 인터뷰 : 김종철 / 정의당 선임대변인 (지난 26일)
- "검찰개혁 문제를 두 사람의 알력싸움으로 비추게 만듭니다. 요즘 말로 전형적인 꼰대 스타일의 발언 아닙니까?"

【 질문3 】
오늘(28일)은 여당 내부에서도 반발이 나왔다고요?

【 기자 】
앞서 기사에서 추 장관의 입장을 전해드렸는데요.

비유하자면 '왜 나는 달을 가리키는데 사람들은 내 손가락만 보느냐' 이런 입장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당 안에서도 추 장관의 발언에 대한 비판이 처음으로 나왔습니다.

검사 출신인 조응천 의원인데요.

조 의원은 자신의 SNS에 "추 장관의 언행은 30년 가까이 법조 부근에 머무르면서 경험해보지 못한 낯선 광경으로서 당혹스럽기까지 해 말문을 잃을 정도"라고 적었습니다.

이어 "거친 언행을 거듭한다면 정부 여당은 물론 임명권자에게도 부담이 될까 우려스럽다"고 주장했습니다.

【 질문4 】
정작 당사자인 윤석열 검찰총장은 어떤 입장입니까?
최측근인 한동훈 검사장은 수사와 감찰을 동시에 받고 있는 점도 부담일 텐데요.

【 기자 】
윤 총장은 한 마디로 '잠행' 중입니다.

추 장관이 공개 발언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기자들은 윤 총장의 얘기도 듣고 싶어하는데 공식석상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고 있습니다.

최측근인 한동훈 검사장은 이르면 이번 주 초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을 예정입니다.

법무부 감찰도 '품위 손상' 등을 이유로 징계 처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많습니다.

한 검사장이 재판에 넘겨지거나 징계를 받는다면 윤 총장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 질문5 】
윤 총장이 지난해 7월에 임명됐잖아요?
임기가 아직 반환점도 돌지 않았는데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가 많더라고요?

【 기자 】
검찰 안팎에서 윤 총장이 '사면초가' 상황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다음 달쯤 검찰 정기 인사가 예정돼 있는데 지난 2월에 이어 인사에 의견을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인사권이 없다면 리더십에도 타격이 있을 수밖에 없지요.

실제 서울중앙지검의 '검언유착' 의혹 수사팀은 대검의 수사지휘에 제대로 응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윤 총장 측은 2년 임기가 지켜져야 한다는 입장이 굳건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또 정치권의 압박에 대해서는 자칫 말려들 수도 있기 때문에 일일이 대응할 필요 없다는 입장입니다.

【 앵커멘트 】
지금까지 사회부 이성식 기자였습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