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1기 신도시를 코로나 이길 스마트도시로"
입력 2020-06-26 17:25 
"지은 지 30년이 된 1기 신도시를 다시 바꿔야 합니다. 위생·방역 개념을 집어넣은 스마트도시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에요."
김현아 도시재생전략포럼 공동대표(전 미래통합당 의원)는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스마트 신도시 재생을 위한 정책토론회'(김은혜 통합당 의원 주최)에서 이같이 밝혔다.
1990년대 초반부터 지어진 1기 신도시들에 재건축 가능 연한인 30년이 도래하고 있는 만큼, 이를 리뉴얼해 새로운 일자리도 만들면서 서울에 몰린 수요를 분산하자는 것이다.
김 대표는 "노후화된 1기 신도시를 새 공간으로 탈바꿈시키자는 수요가 매우 많다"며 1기 신도시 재생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코로나19 사태를 반영해 위생과 방역 개념을 주거에 넣어야 한다"며 "공동주택의 경우 에어샤워나 소독·발열체크 시설, 별도 택배공간 확보 등을 기본 인프라스트럭처로 제공하고 주거공간에서 방 개수 증가 등 추가적인 공간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피스나 리테일 상업 부동산에서 사회적 거리 확보를 위한 사용공간 증가와 방역 관리 비용 증가가 불가피하다고도 덧붙였다.
이같이 늘어나는 리뉴얼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김 대표는 두 가지 방식을 제안했다. 우선 스마트도시다. 공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유주방, 공유오피스 등을 도입하고 스마트센서를 교통 부문에 도입해 대중교통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김 대표는 "1기 신도시 리뉴얼로 인한 추가 분담금이 가구당 1억원 이상 들 수 있다"면서 "고령층 은퇴자의 경우 추가 분담금을 낼 형편이 안 될 수도 있는 만큼 주택도시기금의 장기 저리 융자가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이한준 전 경기도시공사 사장은 "아직도 2기 신도시 광역교통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면서 "대도시권의 광역교통에 정부의 인프라 예산을 투입하는 것이 투자 효율성도 높이고 도시 경쟁력도 제고할 수 있다"고 밝혔다.
[나현준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