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볼턴 "한국 인구 절반은 `햇볕 지지자`…절반은 `대북 강경론자`"
입력 2020-06-26 17:18  | 수정 2020-07-03 17:37

'그 일이 일어났던 방' 회고록을 통해 '남북미 정권간 막후 논의'를 폭로한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이번에는 '남남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발언으로 여론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볼턴 전 보좌관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와의 인터뷰 때 우리나라 국민들의 대북관과 관련해 "한국 내 (대북관) 여론은 크게 분열돼 있다"며 "인구의 약 50%는 문재인 대통령처럼 이른바 '햇볕정책' 지지자들이지만, 나머지 50%는 다르다"라고 밝혔다.
볼턴 전 보좌관은 "(나머지 50% 인구는) 나와 완전히 똑같지는 않지만 (문 대통령보다) 훨씬 강경하다"며 "그래서 한국 여론은 논쟁을 벌이고 있다. (대북 문제는) 그들에게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라고 설명을 더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예방적 선제공격도 불사해야 한다'고 줄곧 주장한 대북강경파 인사로 정평이 났다. 그는 트럼프 정부 체제인 지난 2018년 4월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발탁됐으나,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및 이란 등 대외정책에서 이견을 보여 작년 9월 보좌관직에서 물러났다.

참여정부 때 통일부 장관을 지낸 정세현 대통령직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은 26일 한 라디오에 출연해 "미국의 군산복합체 이익을 대변하는 관료집단에서 볼 때 북핵문제는 해결하면 안 된다"고 밝혔다.
미 군산복합체와 연관이 깊은 볼턴 입장에서 문 대통령의 북미관계 긴장 완화 행보가 미 관료집단에게는 불이익으로 작용한다는 얘기로 해석 가능하다.
[우승준 기자 dn1114@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