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레이더P] 靑"전사자 신원확인, DNA 확보에 달려…더 많은 유가족 참여를"
입력 2020-06-26 16:39 

청와대는 26일 6·25전쟁 전사자 신원확인에 필수적인 DNA확보를 위해 유가족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협조해줄 것을 부탁했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도 유가족들의 DNA 등록이 '장진호전투' 일곱 영웅들의 신원 확인이라는 기적을 만든 출발점이 됐다며 DNA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지금껏 정부가 북한 지역에서 확보할 수 있는 국군전사자에 유해에 대한 확인과 봉환 작업을 마쳤다"고 설명했다. 전날 6·25전쟁 70주년 기념식을 계기로 미국으로부터 장진호전투 전사자 유해 147구가 봉환되면서 1996년 미·북 공동 유해발굴 이후 25년만에 북한 지역에서 발굴된 국군 유해가 모두 국내로 봉환됐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미 양국은 지난 2010년 'Korea War Project(KWP)' 전담팀을 꾸려 관련 작업을 진행해왔다.
윤 부대변인은 "발굴된 유해를 가족의 품으로 모시기 위해서는 신원 확인에 필요한 유가족 DNA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6.25전쟁 70주년을 맞아서 전사자 유가족분들이 더 많은 DNA 시료 채취에 참여하기를 정부는 강력하게 소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제껏 국군 유해 1만 543구를 발굴해 서울·대전 현충원 내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에서 보관 중이다. 이 가운데 신원이 확인돼 이름과 가족을 되찾은 영웅들은 전날 미국으로부터 송환된 7명을 포함해도 149명에 불과하다. 1만 명 이상의 이름없는 영웅들이 여전히 가족과 만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윤 부대변인은 "어렵게 (유해를) 발굴해서 모셔는 왔는데 가족의 품으로 보내드리지 못하는 이유는 DNA 확보율이 낮으면 그만큼 그 (신원확인에 성공할)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아직도 신원이 확인되지 못한 영웅들을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많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윤 부대변인은 정부가 국방부 유해감식발굴단 전화(1577-5625·오!육이오)를 통해 유가족 DNA 채취·등록을 돕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정부는 올해 36개 부대 연인원 10만 명을 투입해서 전국의 70개 지역에서 6·25 전사자 유해 발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마지막 한 분의 유해를 찾을 때까지 유해 발굴 사업과 관련한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신원이 확인된 장진호전투 전사자) 7분의 가족들은 유해를 찾은 것을 기적처럼 여기며 국가에 감사를 표시했지만 그 출발은 가족들이 제공한 유전자였다"며 말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유가족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면서 DNA확보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고 전했다.
[김성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