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아시아나 인수` 딜 클로징 하루 남았는데…현산 `침묵 유지`
입력 2020-06-26 09:35 
아시아나항공 본사 전경 [사진 = 매경DB]

HDC현대산업개발(현산)의 상반기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딜 클로징(종료) 시점이 하루 남은 26일, 현산과 아시아나 채권단은 재협상 일정조차 잡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기업결합 승인 심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데다 현산과 채권단 간 재협상도 시작되지 않아 자연스레 인수 종료 시점이 연기되는 모습이다.
지난해 말 현산-미래에셋 컨소시엄은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 주식 매매계약을 맺으면서 이달 27일까지 거래를 끝내기로 했다. 다만 해외 기업결합 승인 심사 등 다양한 선결 조건에 따라 종결 시한을 늦출 수 있는데 최장 연장 시한은 올해 12월 27일이다. 현재 해외 기업결합 승인 대상 6개국 중에서는 러시아의 승인이 나지 않은 상태다.
현재 HDC현산은 러시아의 기업결합 승인 외에도 다른 선행조건이 충족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라 매각절차 중 재협상도 여전히 답보상태다. HDC현산은 지난 9일 채권단인 한국산업은행에 인수 조건 원점 재검토를 요청하면서 아시아나항공의 부채 증가와 재무제표의 신뢰성, 태도 등을 문제삼았다.
이에 대해 아시아나항공은 "HDC현산이 출범한 인수준비단 및 HDC현산의 경영진이 요구하는 자료를 성실하고 투명하게 제공해 왔다"라고 반박했다.

그럼에도 현산이 대면협상에 나오지 않자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지난 17일 기자 간담회에서 "서면 협의를 얘기했는데 60년대 연애도 아니고 무슨 편지를 하느냐"며 대면 협상장에 나올 것을 촉구한 바 있다.
현산이 지금은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으나 결국 채권단과 재협상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재협상도 하지 않고 인수를 포기하면 인수 무산의 책임이 고스란히 현산 쪽에 돌아갈 수 있고, 이 경우 예상되는 2500억원의 계약금 소송에서 현산이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밖에 없다.
채권단 관계자는 "재협상 요구에 현산 측에서 아직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현산, 금호산업 등 협상 주체들이 계약을 파기하겠다고 하지 않는 이상 인수 종료 시점은 연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재협상에 들어가면 세부 조건 관련 채권단과 현산의 기 싸움이 예상된다.
금호산업에 줘야 할 구주 가격과 아시아나항공의 영구채 5000억원의 출자 전환, 아시아나항공 대출 상환 문제 등이 협상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코로나19 사태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다고 해도 인수가를 낮추는 것은 자칫 특혜 논란을 부를 수 있어 채권단의 고민도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