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LG화학·고려대, 배터리 분야 기술개발 및 인재 양성 맞손
입력 2020-06-23 13:01 

LG화학과 고려대는 23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 수당삼양패컬티하우스에서 배터리 분야의 미래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을 위해 힘을 합치기로 하는 산학협력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협약식 자리에는 김중훈 고려대 공과대학장, 김명환 LG화학 전지사업본부 CPO 겸 배터리 연구소장(사장) 등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LG화학과 고려대는 ▲차세대 배터리 소재 연구 ▲빅데이터·인공지능(AI) 교육 ▲스마트팩토리 구축 등 3가지 분야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우선 차세대 배터리 소재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고려대-LG화학 차세대 배터리 소재 센터를 고려대에 설치하고, 협력 연구사업을 진행한다. 양극재 및 음극재 소재 개발은 물론 배터리 소재의 장(長)수명화를 위한 기술 개발 연구도 병행하며 지속적으로 연구협력 분야를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빅데이터·AI 교육 분야에서 LG화학이 연구·개발(R&D) 및 생산기술 관련 업무를 하는 직원 32명을 선발하면 고려대는 선발된 인원에 대해 'DX(Digital Transformation) Expert 양성과정'을 진행한다. 해당 인원은 배터리 공정 시 발생하는 원천 데이터로부터 해결이 필요한 문제를 정의하고 적절한 데이터 분석방법론을 적용하는 법을 익혀 향후 배터리 사업 내 분야별 컨설턴트 역할을 수행한다.
고려대는 LG화학이 전 세계에 새로 구축할 공장의 설계 및 운용에 적용될 스마트팩토리 혁신기술 적용을 위해 협력한다. 최근 고려대는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을 위해 국내 최고 전문가들을 영입하고 국내외 유명업체들과 국제적인 플랫폼 협업 네트워크를 구성하기도 했다.
김중훈 공과대학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핵심으로, 기존의 교육, 연구, 기술개발 패러다임을 뛰어넘어 기업과 학교가 새로운 방법으로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고려대의 차세대 배터리 소재, 인공지능, 스마트팩토리 관련 핵심 역량이 LG화학의 첨단 소재 생산기술과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명환 사장은 "배터리 분야에서 1등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 강화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DX) 가속화를 위한 AI 기반 제조 역량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며 "기존 내부 역량 확보뿐만 아니라 고려대와의 산학협력 등 오픈 이노베이션도 확대하여 제조 역량을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한경우 기자 case1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