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北 `대남방송` 확성기 설치 지속…軍, 대응방안 놓고 고심
입력 2020-06-23 10:50  | 수정 2020-06-30 11:07

북한이 이틀 만에 대남 확성기 방송 시설을 20여 곳에 설치하자 군 당국이 대응 방안을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은 지난 2018년 4.27 판문점선언으로 비무장지대(DMZ) 인근 확성기 방송 시설을 모두 철거한 바 있으나, 북측은 지난 21일 오후부터 전격 재설치에 나섰다.
이에 맞대응하고자 군 당국이 대북 확성기를 설치한다면 우리도 판문점선언을 위반하는 셈이어서 속단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23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북한군은 최근 DMZ 동·서·중부 전선 일대 20여 곳에 확성기 방송 시설을 재설치했다.

과거 북측이 최전선 일대 40여 곳에서 확성기를 가동해온 만큼 곧 20여 곳에 확성기가 더 설치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다만 재설치한 시설에서 아직 대남 방송은 시행하고 있지 않다.
군 당국은 북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에서 대남전단 살포를 승인하면서 확성기 방송도 이와 함께 시작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국방부는 "북한의 군사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며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서도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도 "북한의 군사적 동향에 대해 작전 보안상 일일이 알려줄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실제로 정경두 국방부 장관을 비롯한 군 관계자들은 북한의 확성기 설치 동향과 그에 대한 우리 군의 대응 방식에 대해서도 말을 아끼고 있다.
정 장관은 지난 22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여당 의원들과 질의응답을 했으나, 북측의 확성기 관련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국방부도 이날 업무보고에서 확성기 관련 내용은 보고하지 않았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 정부 관계자는 "우리도 다양한 시나리오가 있다.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면서도 확성기 맞대응 설치 여부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현재 군 당국은 지난 2018년 5월 철거했던 확성기 방송 시설을 점검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북측은 4.27 판문점선언에 따라 지난 2018년 5월 1일 최전선 일대 40여 곳에 설치한 대남 확성기를 전격 철거한 바 있다.
같은 달 4일 우리 군도 최전방 40여 곳에 설치한 고정식·이동식 확성기 방송 시설을 철거하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명한 판문점선언의 첫 이행 사례로 꼽히기도 했다.
군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확성기 방송을 두고 '북한이 가장 아파하는 심리전 수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출력을 최대로 하면 낮에는 약 10km, 밤에는 약 24km 떨어진 곳까지 방송 내용이 들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군 관계자에 따르면 최대 출력으로 방송할 때 군사분계선(MDL) 인근 북한군 부대에서는 밤낮으로 청취할 수 밖에 없다.
우리 군은 기존의 고정식 확성기보다 10km 이상 더 먼 거리까지 대북방송을 할 수 있는 신형 이동식 확성기 차량도 보유 중이다.
[이상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