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일수교 55주년 '먹구름' 가득…양국 정상이 풀어야
입력 2020-06-22 19:30  | 수정 2020-06-22 20:58
【 앵커멘트 】
오늘(22일)은 한일 수교 55주년을 맞는 날이지만, 한일 관계는 어둡기만 합니다.
최근 불거진 세계유산 등재와 관련된 역사 왜곡을 비롯해 수출 규제와 강제징용, 위안부 문제 등 난제들이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데요.
한일 관계의 현주소를 신동규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신동규 기자입니다.


【 기자 】
우리 정부가 일본을 상대로 또다시 강경 대응에 나설 방침입니다.

군함도 등 강제징용 피해자를 추모하겠다는 애초 약속과 달리 최근 문을 연 일본 산업유산정보센터에 역사 왜곡 내용이 담기자 발끈한 겁니다.

우리 정부는 일본 근대산업시설 23곳에 대해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취소를 요구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전용기 /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국회 문체위)
- "문체부나 문화재청에서도 우리가 실물로 약속 이행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강력하게 대응해야 하지 않느냐, 우리도 잘못됐다고 판단한다고 대답을 하신 거죠."

일본은 억지 주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스가 요시히데 / 일본 관방장관
-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의와 권고, 이런 것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우리나라 정부가 약속한 조치를 포함해 이런 것들을 성실히 이행해오고 있으며…."

강제징용 문제는 또 다른 뇌관입니다.

법원에 압류된 일본 전범기업 자산 현금화 절차가 진행되면서 2차 수출규제 등 한일 간 충돌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양국 간 국경은 막혔고, WTO제소와 지소미아 문제까지 한일 관계는 최악의 상황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인터뷰 : 호사카 유지 / 세종대학교 교수
- "일본 자체가 이 문제에 대해서는 계속 억지, 왜곡을 거듭한다면 한일관계는 좋아질 리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실무 차원의 협의로는 얽혀 있는 여러 현안을 풀기 어렵다며, 양국 정상이 직접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MBN뉴스 신동규입니다.

영상취재 : 이형준 VJ
영상편집 : 송지영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