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나눔의집 후원금 논란 진입로 공사로 불똥…"난개발 뻔해"
입력 2020-06-22 14:42  | 수정 2020-06-29 15:05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시설인 '나눔의 집(경기 광주시)' 후원금 운용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마을주민들이 국비를 지원받아 진행할 예정이던 나눔의 집 진입로 확장 공사를 반대하고 나서 주목됩니다.

진입로 확장은 '호텔식 요양원' 건립의 사전작업으로 난개발이 우려된다는 것입니다.

당초 광주시는 지방도 325호선에서 나눔의 집까지의 진입로 900m 구간 가운데 'ㄱ'자 구간 100여m는 폭이 3m로 차량교행이 불가능하다는 민원이 제기됨에 따라 국비(특별교부세) 19억원을 확보해 진입로 확장 공사를 연말까지 마칠 계획이었습니다.

다만 주민들이 도로 폭이 6m 이상이 될 경우 광주시 조례에 따라 빌라 건물과 물류단지 등이 들어와 난개발을 부를 수 있다며 반발하자 'ㄱ'자 구간을 'ㅁ'자로 변경해 확장하기로 했습니다.


이럴 경우 나눔의 집에서 나오는 차량은 'ㄱ'자 구간을, 들어가는 차량은 'ㄴ'자 구간을 각각 일방통행하며 이용할 수 있게 되고 도로 폭도 4m면 가능합니다.

해당 구간의 3개 필지 가운데 1개 필지는 토지주와 매매 계약을 맺었고 2개 필지는 매입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그러나 나눔의 집 인근 퇴촌면 원당2리 주민들은 최근 나눔의 집 후원금 논란이 불거진 이후 진입로 3곳에 '나눔의 집 진입도로 확장/우회 반대 호텔식 요양원 설립 반대'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내걸어 반발하고 있습니다.

현수막에는 '나눔의 집 후원금을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위해 써라. 나눔의 집 공익 제보자를 지지한다'는 내용도 포함했습니다.

원당2리 한 주민은 오늘(22일) "나눔의 집에 100명 이상을 수용하는 호텔식 요양원을 세우려면 연면적 2천㎡ 이상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 진입로 확장이 필수"라며 "나눔의 집 법인이 후원금으로 호텔식 요양원을 세우려 한다는 직원들의 내부 고발에 주민들이 격앙된 상태"라고 말했습니다.

이 주민은 "광주시 측이 폭 4m의 'ㅁ'자 도로를 만든다는데 실제 매입하는 도로 폭은 6m 이상이라 언제든 폭을 넓힐 수 있어 난개발이 불 보듯 뻔하다"며 "국비 19억원도 주민들의 요구가 아닌 나눔의 집 법인의 요구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역사 교육의 장인 나눔의 집을 위해 진입로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며 "올해 안에 국비를 쓰지 못하면 반납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나눔의 집 관계자는 "호텔식 요양원 건립은 사실무근으로 진입로 확장과도 무관하다"고 말했습니다.

나눔의 집 직원 7명은 나눔의 집 법인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 집'이 거액의 후원금을 할머니들에게 사용하지 않고 130억원대의 부동산·현금자산으로 보유, 향후 노인요양사업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폭로하고 법인 이사 4명과 전 시설장 및 사무국장 등 6명을 경찰에 고발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