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라이트펀드 "올해 신규로 코로나19 대응 포함 17개 과제에 180억원 지원"
입력 2020-06-22 09:41 

라이트펀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포함한 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17개 연구·개발(R&D) 과제에 올해부터 약 180억원의 기금을 추가 지원한다고 22일 밝혔다.
라이트펀드가 올해 새로 선정한 R&D에는 코로나19에 대응할 백신·진단·디지털헬스 기술 개발 프로젝트들을 비롯해 신종 호흡기 감염, 결핵, 말라리아, A형 간염, 수막구균 감염, 흑열병, 장티푸스 등에 대한 기술 개발 프로젝트가 포함됐다.
해당 과제들은 작년 하반기 진행된 '2차 중대형 과제 공모'와 올해 상반기 진행된 '1차 소형 과제 공모'를 통해 선정됐다.
이번 선정으로 라이트펀드 포트폴리오에서 코로나19를 포함한 호흡기 감염병 R&D가 전체 22개 과제 중 8개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됐다.

라이트펀드는 올해 새롭게 기금 지원을 결정한 과제에 대한 연구비 지원을 선정 과제 별 연구 수행 기관과의 계약 체결을 마무리하는 대로 신속하게 진행할 방침이며, 구체적인 선정 프로젝트와 연구수행 기관은 계약 체결 뒤 라이트펀드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할 예정이다.
김윤빈 라이트펀드 대표는 "라이트펀드가 지원하는 연구 과제는 모두 한국의 우수한 백신, 치료제, 진단, 디지털 헬스 기술 개발로 국내 공중보건 향상과 더불어 개도국의 감염병 대응 및 의료 불평등 해소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라이트펀드는 한국의 강점 기술과 개도국의 공중보건 필요도를 연계해 가능한 빠른 시기에 의미 있는 결과물이 도출될 수 있게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라이트펀드는 내년 상반기부터 연구비를 지원할 과제를 다음달 7일까지 공모한다.
라이트펀드는 세계 공중보건 증진을 목표로 2018년 보건복지부와 한국 생명과학기업 5개사(SK바이오사이언스·LG화학·GC녹십자·종근당·제넥신),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의 공동 출자로 만들어진 글로벌 민관협력 연구기금이다.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문제 해결에 필요한 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을 위해 한국의 우수한 보건의료 기술력을 활용할 수 있는 중대형 과제(후기 개발 프로젝트)와 소형 과제(전기 개념증명 프로젝트)를 발굴·선정해 오는 2022년까지 500억원을 지원한다.
[한경우 기자 case1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