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부 "코로나19 백신 개발 시 우선순위 정해 접종할 것"
입력 2020-06-18 16:22  | 수정 2020-06-25 17:05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할 경우 우선순위를 정해 접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오늘(18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방역당국은 역학조사와 더불어 치료제·백신 연구개발을 통해 중증 이상 환자들의 생명을 지키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백신을 확보하면 전체 국민 중 우선순위를 정해 실제 접종을 하면서 모니터링을 병행해야 하는 새롭고도 막중한 과제가 앞에 놓여있다"고 말했습니다.

권 부본부장은 치료제 개발에 대해서도 "개발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과제"라면서 "현재까지 치료제도 중증환자 이상으로 (적용) 대상이 한정돼 있고 부작용과 내성의 등장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이달 초 코로나19 국산 치료제를 연내에 확보하고 백신은 내년까지 개발한다는 목표를 제시했지만, 이 목표가 상당히 도전적인 과제가 될 것임을 시사한 셈입니다.


권 부본부장은 "종국적인 해결책은 치료제와 백신이지만 코로나19를 비롯한 호흡기 전파 신종 감염병을 이겨낼 수 있는 길은 '거리두기'가 가장 근본"이라면서 방역수칙 준수를 재차 강조했습니다.

한편 코로나19 혈장치료제 개발을 위해 혈장을 공여하겠다고 약속한 완치자는 이날 기준 162명으로 늘어났습니다. 혈장 공여자는 지난 3일까지만 해도 12명에 불과했으나, 연구·개발자들이 혈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참여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혈장치료제는 혈장에 있는 중화항체를 농축해 개발·생산하기 때문에 많은 혈액이 필요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연구를 할 수 있는 공공 생물안전시설(BL3)을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기관은 13곳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중 6개 기관은 이미 연계가 완료돼 실제 연구를 진행할 수 있게 됐습니다.

방역당국은 지난 15일 이후 대전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들의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량이 많다며 바이러스 전파력이 유독 강한 게 아니냐는 주장이 일각에서 제기된 데 대해 검사 시점에 따라 바이러스 검출량에 차이가 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권 부본부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발병 초기에 많은 양의 바이러스를 배출하고, 증상이 나타난 뒤 열흘이 안 되어서 바이러스양이 급격하게 떨어진다"면서 "바이러스양이 떨어지는 시기에 측정했다면 낮은 농도로 검출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또 코로나19가 중증으로 악화하는데 혈액형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외국 연구 결과에 대해 권 부본부장은 "논문에 공표가 됐다면 전문가들과 논의하고, 내부 분석도 병행해보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전날(현지시간)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에는 혈액형 A형은 중증, O형은 경증 증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