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꼼짝 않는 통합당, 사흘째 국회 일정 보이콧
입력 2020-06-18 14:22  | 수정 2020-06-25 15:05

미래통합당은 오늘(18일) 사흘째 국회 의사 일정 전면 보이콧을 이어갔습니다.

한반도 위기 상황으로 안보 관련 상임위는 등원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고개를 드는 듯 했지만, 원구성과 안보는 별개라며 오히려 더불어민주당이 강행한 상임위원장 선출을 원점으로 되돌려야 한다는 강경론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특히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지도부는 법제사법위원장을 얻어내지 못할 바에야 18개 상임위를 여당에 내주고 말겠다는 벼랑 끝 전술을 구사하며 여당을 한껏 압박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를 마친 뒤 "민주당에 18개 상임위를 다 가져가라고 한 주장이 아직도 유효하냐"는 취재진 질문에 "강제로 가져간다는데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지, 어떻게 하느냐"며 싸늘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사의를 표명하고 칩거 중인 주호영 원내대표도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국회에) 복귀할 마음이 없다"며 "(민주당이) 바뀐 게 있어야지"라고 단호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주 원내대표는 안보 상임위 참여 주장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서도 "원구성 여부는 이 사태 수습과는 별로 관계가 없다"며 "민주당이 매번 우리가 발목 잡는다고 했는데, 단독으로 하면 더 잘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습니다.

야당 몫 국회 부의장으로 내정된 정진석 의원은 통화에서 "국회부의장 선출이 시급하지 않다고 한 입장은 지금도 유효하다"면서 "법제사법위를 강탈당했다는 느낌을 의원들이 갖고 있다. 내상이 치유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김은혜 대변인은 "수적인 우세를 갖고 집권 여당으로서 책임 있는 자세를 견지하는 분들이 상황을 어떻게 타개해야 할지 알 것"이라며 여야 교착 상태 해소의 책임을 민주당에 돌렸습니다.

전날 국방위, 외교통일위, 정보위 등 3대 외교안보상임위에는 통합당도 참여해 초당적 대응을 논의하자고 제안한 하태경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약간의 냉각기가 필요하다"며 당의 기류가 변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함을 시사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