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엔씨에너지 "코로나 무색"…IDC에 이어 그린뉴딜까지 `두마리 토끼` 잡는다
입력 2020-06-17 13:49 
안병철 지엔씨에너지 대표는 최근 기자와 가진 인터뷰를 통해 2030년 1조 매출 기업 성장 포부를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길어지면서 주요 상장사들의 실적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가운데 현 상황에서 반사이익을 얻는 기업이 있어 눈길을 끈다. 온라인수업, 재택근무 등으로 인한 언택트(Untact) 수혜는 물론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까지 호재가 겹치면서 올해 최대 매출을 예고하고 있다. 국내 1위 비상발전기 업체인 지엔씨에너지가 그 주인공이다.
안병철 지엔씨에너지 대표는 최근 기자와 가진 인터뷰를 통해 "주력 사업인 비상 발전기와 신규 성장동력으로 추진해온 바이오가스 부문이 동시에 성장해 올해 2000억원 매출을 달성할 것"이라며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발전 전문기업으로 10년 내 1조원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지엔씨에너지는 IDC(인터넷데이터센터, Internet Data Center)를 포함한 비상발전기 IT부문 시장 점유율은 70% 이상 가진 국내 1위 업체다. 여기에 미래 성장 동력으로 바이오가스 발전소에 눈을 돌려 관련 사업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설비 매출 외에 자체 발전시설에서 발생되는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에서 이익을 실현 중이다.
안 대표는 "언택트 시장 확대로 IDC센터 수요가 급증해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기업들은 물론 KT, LG유플러스, GS건설 등 국내외 기업들의 투자가 본격화되면서 신규 증설과 수주 계약이 급증하고 있다"며 "국내 독보적인 시장 점유율과 기술력을 보유한 것을 내세워 전력생산이 가능한 가스터빈 비상발전기 매출 확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회사는 여의도 파크원, 스타필드 하남점, 현대 정보 기술 용인 IDC 등 굵직한 비상발전기 수주 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이러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KT 용산 IT센터에 4.8MB 용량 비상발전기 10대를 공급한 것이 2분기 실적에 고스란히 반영될 예정이다. 또 글로벌 데이터센터 양대 기업 중 하나인 디지털리얼티가 국내 처음 건립하는 서울 상암동 DMC 디지털센터의 비상발전기 공급 우선협상자에 선정되는 쾌거를 거뒀다.
실적도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다. IDC향 비상발전기 매출은 2017년 236억원에서 지난해 362억원으로 2년 만에 50% 이상 증가했다. 올해 400억원을 무난하게 이뤄낼 것으로 예상된다.
동시에 신성장 동력으로 선택한 바이오 가스 부문에서도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바이오가스 발전의 경우 2008년 부터 10년 동아 주력한 결과 시스템 제조·투자·운영까지 전처리 체계를 갖췄다. 하수처리 시설, 음 폐수, 분뇨와 폐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매립) 가스를 원료로 전기를 생산하는 운용 체제로 전·후 처리 기술을 보유한 것은 지엔씨에너지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진다.
최근 노르웨이 회사 캠비와 공동 투자를 통해 약 180억원 규모의 경주시 하수처리장의 슬러지(찌꺼기) 감량화 사업을 수주하는 등 올해 본격적으로 매출이 반영될 전망이다. 여기에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에 힘입어 사업 확장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사는 현재 20% 내외인 바이오가스 매출을 3~4년 내 50% 이상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또한 향후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시장 등 4차 산업의 급성장에 따른 비상 전력 인프라에 유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연구개발(R&D)도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3일 자사주 40만주를 대상으로 20억 8000만원 규모 교환사채(EB)를 발행했다. 비용을 절감하고 주가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대량 블록딜은 피했다는 설명이다. 회사는 EB 발행을 통해 마련한 자금은 서울 마곡산업단지 내에 R&D센터를 신축하는 자금으로 투입해 내년 말 완공을 앞두고 있다.
이외에도 지난 3월 코스닥에 상장한 자회사 지엔원에너지와 함께 전기(지엔씨에너지)와 설비(지엔원에너지) 두 영역에서 시너지를 발휘해 프로젝트 사업을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또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수 있는 기업 간 인수합병(M&A)도 적극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안 대표는 "지난 1분기 자회사인 지엔원에너지의 스팩 합병 비용이 일시 반영된 것을 제외하면 회사 창립 30년 동안 단 한번의 적자 없이 매출은 상승세를 이어갔다"며 "IDC 비상발전기 시장의 점유율을 더욱 공고히하고 캠비 공법과 함께 바이오가스 발전소 일괄 처리 시스템을 표준화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규리 기자 wizkim61@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