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6·17 부동산 대책' 총정리…종부세 대폭상향 '법인부동산' 거래 규제 등
입력 2020-06-17 10:05  | 수정 2020-06-24 11:05

내년 6월부터 법인이 보유한 주택에 대해 종합부동산세를 부과할 때 최고세율인 3∼4%가 적용됩니다.

법인이 소유한 주택 처분 시 기본 법인세율에 더해 추가로 적용하는 법인세율을 현행 10%에서 20%로 올립니다.

개인이 세금과 대출 등 부동산 규제를 피하고자 법인을 설립해 투기적인 주택 구입을 막으려는 취지입니다.

정부는 오늘(17일) 발표한 '6·17 부동산 대책'을 통해 이런 내용의 '법인 부동산' 세제 강화 방안을 내놨습니다.


우선 내년 6월부터 법인 소유 주택에 대한 종부세율을 2주택 이하는 3%, 3주택 이상 또는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은 4%로 각각 인상해 단일세율로 적용합니다.

개인에 대한 종부세율 중 최고세율을 법인 부동산에 적용하기로 한 것입니다.

종전에는 개인과 법인 구분 없이 납세자별로 보유 주택의 공시가격을 합산해 종부세를 부과했으나, 앞으로는 법인을 활용한 투기수요 근절을 위해 법인 종부세 부담을 대폭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내년 6월부터 법인 보유 주택에 대한 종부세 6억 원 공제도 폐지됩니다.

현재는 개인과 법인 등 납세자별로 6억 원 한도로 종부세를 공제해줬으며, 1가구 1주택인 경우 공제액이 9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 때문에 다주택자가 법인을 활용해 종부세 공제액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였는데, 이를 악용하지 못하도록 법인 보유 주택에 대한 종부세 공제를 아예 없애기로 한 것입니다.

또한 정부는 당장 내일(18일)부터 법인이 취득한 조정대상지역 내 신규 임대주택에 대해 종부세를 매기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는 법인이 보유한 8년 장기임대등록 주택(수도권 6억 원, 비수도권 3억 원 이하)은 종부세를 비과세했는데, 18일부터는 조정대상지역에 8년 장기임대등록을 하는 주택은 종부세를 매기겠다는 것입니다.

이는 개인과 법인 간에 형평성을 맞추는 의미도 있습니다.

앞서 정부는 2018년 9·13 대책 이후 개인이 취득한 주택에 대해서는 임대주택으로 등록하더라도 종부세 합산 배제 등의 혜택을 없앴는데, 법인에 대해서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기로 한 것입니다.

내년 1월부터는 법인이 보유한 주택을 처분할 때 내는 법인세도 대폭 인상됩니다.

현재는 법인이 부동산을 처분할 때 양도차익에 대해 기본 세율 10∼25%를 적용하고, 주택 처분 시에는 추가로 10%의 세율을 더해서 매깁니다.

이를 합하면 법인의 주택 처분 시 적용되는 세율은 최대 35%로, 3주택자가 조정대상지역에서 개인 명의 집을 팔 때 최고 62%의 양도세 중과세율을 적용받는 것과 비교하면 큰 차이가 납니다. 법인을 설립해 아파트 등을 사고팔면 양도세를 크게 아낄 수 있는 구조인 셈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 1월부터 법인의 주택 처분 시 추가로 적용하는 세율을 현행 10%에서 20%로 올려 개인의 '양도세 중과' 효과에 버금가는 세금을 내도록 했습니다.

또한, 지금은 8년 장기임대등록 주택을 양도할 경우 추가로 10% 과세하는 것을 제외했는데 당장 내일(18일)부터 10%의 추가 세율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