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러 크렘린 "한반도 사태 우려…당사자들 자제 촉구"
입력 2020-06-17 08:25  | 수정 2020-06-24 09:05
러시아는 현지시간으로 어제(16일) 북한 측의 개성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청사 폭파에 우려를 표시하면서 당사자들의 자제를 촉구했습니다.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의 관련 질문에 "한반도 사태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우리는 당연히 한반도에서 일어나는 일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는(공동연락사무소 폭파는) 우려를 불러일으킨다"면서 "모든 당사자의 자제를 촉구한다"고 주문했습니다.


페스코프는 '남북한 간 접촉 재개를 지원하기 위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관련국 최고위급과 전화 접촉을 할 계획은 없는가'라는 질문에 "현재로선 (외국의) 고위급 누군가와 (전화) 접촉을 할 구체적 계획은 없다"고 답했습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날 한반도 사태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러시아는 한반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면서 "한국과의 역사적 관계에 관해 얘기하지 않더라도 바로 이 한 가지 이유 때문에라도 우리는 한반도의 견고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데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남북한 관계 정상화를 위한 양측의 대화 진전과 한반도의 종합적 문제를 전적으로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을 지지한다"는 원칙적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그는 한반도 문제의 종합적 해결을 위해 러시아와 중국이 몇 년 전부터 제안한 '로드맵'과 '행동계획'도 바로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한 것이라면서, "이 제안에는 현존하는 남북한 간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필요한 조치들이 명시돼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이 접근법을 견지하면서 남북한 간의 접촉과 합의를 촉구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러시아와 중국은 지난 2017년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단계적 구상을 담은 3단계 로드맵을 함께 마련해 제안하고 이의 이행을 관련국들에 촉구했습니다.

지난해부터는 이 로드맵을 발전시키고 보다 구체화한 새로운 한반도 문제 해결 구상인 행동계획을 역시 중국과 함께 마련해 관련국들과 협의해 오고 있습니다.


러시아 하원(국가두마) 국제문제위원회 위원장 레오니트 슬루츠키도 이날 "우려를 갖고 한반도 사태를 지켜보고 있다"면서 "현재로선 역내 정세 악화를 초래할 수 있는 행보를 피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모든 당사자의 자제를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남북한 문제에 대한 제3국의 어떠한 외부 간섭도 자제돼야 한다"면서 "이는(외부 개입은) 상황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러시아 상원 외교위원회 위원장 콘스탄틴 코사체프는 연락사무소 폭파와 관련 "이전에 남북한 간에 달성된 높은 수준의 관계가 명백히 후퇴했다"고 진단하면서 "이번 사태가 노골적 대결로 이어지지 않기를 기대하며 그것은 어느 편에도 필요치 않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동시에 "이 기분 좋지 않은 사건을 대립하는 쌍방 어느 한 편의 군사행동 개시로 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코사체프 위원장은 이번 사건이 탈북자들의 대북 전단 살포에서 촉발됐음을 상기시키면서, 탈북자 단체들의 행동을 억제하려는 한국 정부의 조치에도 만족하지 못한 북한이 "의도적으로 정세를 악화시키는 길로 갔다"고 해석했습니다.

그는 이와 함께 북한의 이번 조치가 미국과의 핵 협상에서 판돈을 키우려는 것이거나, 남한과의 대화에서 만족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남한은 여러 상징적 성격의 제안들을 내놓았지만, 북한에 중요한 경제 분야에선 미국 제재 위협으로 인해 사실상 진전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