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로나19에도 항공운송 수출 증가…컴퓨터 수출 확대 영향
입력 2020-06-16 11:07  | 수정 2020-06-23 12:05

코로나19 여파에도 올해 4월까지 항공운송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오늘(16일)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최근 수출 물류 동향'에 따르면 1~4월 항공운송 수출은 컴퓨터 수출확대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4.6% 증가한 558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해상운송은 석유화학, 석유제품, 자동차 등 주요 품목들의 수출 부진으로 인해 13.2%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전체 수출은 8.0% 줄었습니다.

반도체,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 무게가 가볍고 단가가 높은 IT 제품 수출은 대부분 항공운송을 통해 이뤄집니다.


1~4월 중 반도체와 무선통신기기 항공운송 수출증가율은 각각 -3.5%, -6.6%로 감소했지만 컴퓨터가 124.1% 증가하며 전체 항공운송 수출액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석유화학, 석유제품, 자동차 등 중대형·중화학 품목들은 해상운송 비중이 99% 이상을 차지하는데, 석유화학과 석유제품은 유가 급락으로 인한 단가 하락으로 해상운송 수출이 각각 18.5%, 24.4% 감소했습니다.

보고서는 "해상운송의 경우 코로나19 확산 초기 지역 간 이동통제 등으로 물류 차질이 일부 발생했으나 영향은 일시적이었고 운임 변동도 소폭에 그쳤다"면서 "중·단거리 노선의 항공 운임은 2~3배까지 증가했으나 최근 홍콩, 중국, 베트남 등 주요 수출국 중심으로 운임이 안정화된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북미·유럽 지역으로의 장거리 노선 항공 운임이 4~5배 폭등한 이후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지만 향후 주요 항공사들의 국제선 노선 운항 재개, 특별 화물 전세기 투입 등 항공운송 공급이 확대되면서 운임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도원빈 연구원은 "자체 화물전용기 또는 전세기 임대, 우회수송 등 대응이 가능한 대기업과 달리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높은 항공 운임을 감당하기 어렵다"면서 "항공 운임 안정화, 화물전세기 투입 지역 확대 등 중소 수출기업 물류 지원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