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광주 지역주택조합 업무대행사 사기피해, 87명·57억원으로 늘어
입력 2020-06-15 15:37  | 수정 2020-06-22 16:05

광주 한 지역주택조합 업무대행사가 저질렀다고 알려진 사기 사건의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15일) 광주 동부경찰서 수사 전담팀에 따르면 현재까지 87명이 57억원 상당의 피해를 호소하며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했습니다.

사흘 전인 12일까지 고소인 53명, 피해 추산액 40억원이 주말을 지나면서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고소인들은 대부분 비조합원으로 아파트 한 채당 최대 4명까지 다중계약을 맺은 사실을 모르고 돈을 보냈습니다.


알음알음 알게 된 업무대행사가 조합원 자격 상실자의 공백을 대체할 수 있다며 이들에게 계약을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부 고소인은 일반분양 시점에서 시세보다 저렴한 조합원 조건으로 아파트를 살 수 있다는 거짓 제안을 받았습니다.

조합원 중에서도 사기 피해를 봤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데 신탁회사가 아닌 업무대행사 관계자의 계좌로 돈을 보내 분담금 미납자로 분류됐습니다.

피해 유형은 다른지만 모든 계약서에는 지정된 신탁회사 계좌로 조합 분담금을 입금해야만 효력을 인정받는다고 명시돼 있습니다.

전담팀은 현재까지 파악한 내용이나 확보한 자료·증거를 노출하면 수사에 차질을 빚을 수 있어 언론에 자세한 진행 상황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광주 동구에서 사업을 추진하는 지산동지역주택조합은 올해 4월 7일 사업계획을 승인받았습니다.

조합원분 413가구와 일반분양분 41가구 등 아파트 454세대를 신축하는 사업입니다.

개인 계좌로 분담금 명목으로 돈을 챙긴 업무대행사 관계자는 문제가 불거지자 잠적한 상태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