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JW홀딩스, 새로운 패혈증 진단마커 활용한 키트의 임상서 조기예측 평가받아
입력 2020-06-15 11:23 

JW홀딩스는 손자회사인 JW바이오사이언스가 발굴한 새로운 패혈증 진단마커 트립토판-tRNA 합성효소(WRS)를 활용해 세계 최초로 개발 중인 진단키트의 임상시험에서 폐혈증과 중증 환자를 조기에 예측한다는 평가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국제감염질환저널 최신호에 등재시켰다고 15일 밝혔다.
정경수 신촌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결과는 '중증 패혈증 환자에서 트립토판-tRNA 합성효소의 진단적 성능 및 예후예측 성능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됐다.
연구는 지난 2015년부터 3년간 신촌세브란스병원의 중환자실(ICU)에 입실한 환자 241명 중 패혈증 진단을 받은 190명을 대상으로 기존 패혈증·염증 진단 바이오마커인 프로칼시토닌(PCT), C-반응성 단백(CRP), 인터루킨-6(IL-6) 등과 WRS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WRS가 PCT, CRP, IL-6와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진단 정확도를 보였다. 또 중환자실(ICU) 입원 후 28일 이내에 사망한 환자의 입실 1일차의 값을 각각 측정한 결과, 기존 진단 마커와 달리 WRS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해 패혈증의 조기 발견뿐만 아니라 사망률 예측에도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WRS가 사이토카인 폭풍을 사전에 진단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다고 JW홀딩스는 강조했다. WRS는 지난 2016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Nature Microbiology)'에 발표된 논문에서 사이토카인 폭풍을 일으키는 주요 염증물질인 TNF-α, IL-6 등 보다 가장 먼저 혈류로 분비된다는 사실이 확인된 바이오마커다. 당시 연구는 김성훈 연세대 언드오드특훈교수와 진미림 가천대 의대 교수로 구성된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정경수 교수는 "본 연구는 포괄적인 패혈증 진단 및 예후예측에 대한 WRS의 성능을 검증한 연구"라며 "하지만 이론적으로 WRS는 박테리아 뿐 아니라 바이러스에 의해서도 활성화되기 때문에 세균성 패혈증과 함께 코로나 19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증에도 진단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JW바이오사이언스는 현재 WRS 진단키트 개발을 위해 신촌세브란스병원, 가천대길병원, 서울성모병원 등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 품목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JW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팬데믹의 주요 원인인 병원균과 RNA 바이러스들은 유전적 변이가 빨라서 현재의 진단과 치료법으로는 변형의 속도를 따라잡는 데 한계가 있다"며 "국내외 연구진과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WRS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있는 만큼 성공적으로 상용화해 예측과 예방의학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JW바이오사이언스는 2016년 5월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단장 김성훈)으로부터 WRS에 대한 기술이전을 받았다.
[한경우 기자 case1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