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저가 아파트 250만원 떨어질 때 고가 아파트는 무려…
입력 2020-06-15 08:47  | 수정 2020-06-29 09:37

고가와 저가 아파트 가격 차이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이 10년만에 최대로 벌어지는 등 주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최근 1년 사이 전국 저가 아파트 가격은 250만원 떨어졌으나 고가 아파트는 그러는 사이 1억원이 올라갔다.
15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 주택가격 동향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평균가격의 5분위 배율은 7.36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0년 8월(7.40) 이후 9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5분위 배율'은 아파트 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 가격)을 하위 20% 평균(1분위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달 전국 아파트 상위 20%(5분위) 평균 가격은 7억9886만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하면 1억520만원이 올랐다. 반면 같은 기간 하위 20%(1분위) 평균 가격은 1억860만원으로 1년 전보다 247만원 떨어졌다.

저가 아파트값이 2.2% 떨어진 사이 고가 아파트값은 오히려 15.2%나 오른 셈이다.
이 같은 가격차이는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아파트가 이끌었다. 서울의 아파트값 5분위 배율은 4.53으로, 1년 전(4.47)과 비교하면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이를 가격으로 보면 상황이 달라진다.
서울 아파트 하위 20%(1분위) 평균가격은 3억9776만원으로 1년 전보다 12.4%(4392만원) 올랐다. 서울은 1분위 가격조차 4억원에 근접해 이제 4억원 이하 아파트는 찾아보기 힘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아파트 5분위 평균가격은 무려 18억320만원에 달했다. 1년 사이 10.2%에 해당하는 1억6713만원이 올랐다.
[이상규 기자 boyondal@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