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꽉 막힌 외교·경제에 불만 커진 北, 남 공세로 내부 결속 다지나
입력 2020-06-14 08:56 
북한서 계속되는 대북전단 살포 비난 항의집회 [연합뉴스]

북한이 표면적으로는 최고지도자를 비난한 전단내용을 문제 삼고 있지만, 그 속내는 대내외적으로 처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약한 고리'인 남쪽을 적으로 삼아 공세를 펴고 있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소식통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말만 믿고 '핵·경제병진' 대신 '경제건설 총력집중' 노선을 선택하고 '영변 핵시설 폐기' 결단까지 내렸지만, 모든 것이 수포가 된 데다 여전히 한미공조를 앞세우고 있다는 것이 북한의 불만이라고 분석했다. 문재인 정부의 성과로 꼽히는 사안들을 모조리 제로로 만들겠다고 공식 선언하고 문 대통령이 평양정상회담 때 김정은 위원장에게 한 발언을 노골적으로 비아냥거리는 것이 이를 방증한 다는 것이다.
여기에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코앞의 대선과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북미 협상을 외면하고, 되레 대북제재 수위를 더욱 높이는 형국도 북한의 격한 태도의 요인으로 꼽았다. 미국은 지난달 중국과 러시아 등지에 퍼져 25억 달러(한화 3조1000억원) 규모의 돈세탁에 관여한 혐의로 30여명의 북한인과 중국인을 무더기 기소한 바 있다.
북한의 입장에서는 그동안 대북제재 장기화로 수출입 통로가 대부분 막혀 중국에 전적으로 의존해오다시피 했는데 코로나19로 이마저도 막히면서 어려움이 가중된 셈이다.

특히 내부적으로 대북제재의 장기화 속에서 코로나19까지 불거지면서 경제난과 민생은 1990년대 수많은 아사자를 낳은 '고난의 행군'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올 정도로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어려워진 민생은 자연스럽게 주민들의 불만을 야기하고 민심이 악화하면서 최고지도자와 체제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게 마련이어서 그만큼 위기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체제를 유지하고 내부 결속을 도모하려면 현재 난관의 원인을 외부로 돌려야만 하고, 한반도 분단 체제에서 남쪽이 제일 약한 고리일 수밖에 없어 문재인 정부를 적으로 규정하고 대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도 지난 10일 회고록 '판문점의 협상가' 출간 기념회에서 "북한은 올해 노동당 창건 75주년이라는 중요한 행사를 앞두고 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 어려운 상황"이라며 "그나마 질서 유지와 체제 안정에 힘쓰는 상황에서 대북전단 문제가 걸린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