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코로나19 의료·현장대응팀 10명 중 5명 "처우 불공정해"
입력 2020-06-12 13:46  | 수정 2020-06-19 14:05

코로나19 현장에서 일하는 의사와 간호사, 역학조사관, 보건소 공무원 등 현장 대응 인력의 절반 정도는 처우가 불공정하며 감염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처우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과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팀은 지난달 18∼31일 의료·현장대응팀 1천11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인식조사'를 실시해 오늘(12일) 이런 내용을 담은 1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코로나19 2차 유행에 대비해 필수 인력인 의료진과 현장대응팀의 신체·정신적 수준을 파악하고 지자체가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데 활용하기 위해 이뤄졌습니다.

현장 대응팀을 위한 자원 분배나 과정상의 처우가 공정했는지에 관한 물음에 '불공정하다'는 응답이 54.1%로 '공정하다'(45.9%)는 응답보다 높았습니다.


불공정하다는 인식은 보건소 공무원이 가장 높았고(65.5%), 역학 조사관 등 기타 대응직(59.1%), 간호사(51.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소속별로는 선별진료소 등 현장 대응 기관이 불공정 인식이 가장 높았고(64.6%), 민간의료기관(55.5%), 공공의료기관(47.5%) 순으로 높았습니다.

현장 대응 인력의 업무참여 기간은 3개월 이상∼4개월 미만이 41.7%로 가장 많았고 1개월 이하 21.8%, 2개월 이상∼3개월 미만이 21.5%였습니다.

현장 대응 업무에 따른 건강 상태 변화에 대해 37.5%가 '나빠졌다'고 답했습니다.

건강 상태가 나쁜 정도를 5점 척도로 표시했을 때 근무 기간이 30일인 경우 3.5, 60일인 경우 4.0, 90일인 경우 4.6으로 나타나 근무 기간이 길수록 건강 상태가 나빠졌다고 답했습니다.

현장 대응 업무에 따른 건강상태 변화를 묻는 질문에는 47.2%가 '변화 없다'고 했으며 37.5%가 '나빠졌다'고 했습니다.

응답자의 69.6%는 노동 강도를 줄이기 위한 근무시간 조정 등이 없었다고 답했으며 43.7%는 비자발적이고 강제적인 요소로 업무참여를 했다고 웅답했습니다.

유명순 교수는 "폭염과 코로나19 2차 대유행에 대비해 의료진과 현장 대응팀의 안전 보장과 정신적·심리적 위험 신호에 조기 대응할 수 있도록 당국의 지원은 물론 전 국민의 사회적 연대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들은 이러한 여건에도 코로나19 대응 업무를 지속하겠다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사태가 계속되면 주어진 일을 계속할 것이라고 답한 사람은 83.4%였습니다. 코로나19 상황이 아무리 심각해도 맡은 일을 계속할 것이라는 응답 역시 77.0%로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현 근무지에 대한 감염 위험성을 묻는 항목에는 응답자의 절반인 50.1%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자신의 감염 가능성과 감염으로 생길 건강 영향, 피해 등 감염 결과의 심각성에 대해 43.8%가 감염 가능성이 크다고 답했고, 68.1%는 감염으로 인해 생길 건강 영향 및 기타 피해 등 결과가 심각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앞서 지난 5일 발표된 경기도민 대상 코로나19 위험 인식조사에서 응답자들은 감염에 대한 걱정을 묻는 항목에 12.4%가 가능성이 높다고 답한 바 있어 의료·현장 대응팀의 감염에 대한 부담감이 일반인보다 약 3.5배 높은 셈입니다.

이희영 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은 "최근 수도권 확진자가 증가하는 상황인데 이번 조사 결과가 현장 대응팀을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은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와 공동으로 의료진 및 현장대응팀에 대한 2, 3차 조사를 계속하고 도는 최종 종합결과를 토대로 현실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