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인종차별적 묘사에 청산대상 전락
입력 2020-06-11 08:44  | 수정 2020-06-18 09:05

미국에서 '흑인 사망' 항의 시위 확산으로 인종차별과 연관된 역사적 상징물들이 퇴출당하고 있는 가운데,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도 청산 대상이 됐습니다.

AFP통신에 따르면 미 스트리밍서비스 HBO 맥스는 현지시간으로 어제(9일)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보유 콘텐츠 목록에서 삭제했습니다.

1939년 개봉한 이 영화는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10개 부문을 휩쓴 명작으로 평가받지만, 흑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고착화하고 백인 노예주를 영웅적으로 묘사해 인종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HBO 맥스 측은 성명을 통해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그 시대의 산물이며 불행히도 당시 미국 사회에 흔했던 윤리적, 인종적 편견 일부가 묘사돼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런 인종차별적 묘사는 당시에나 지금이나 틀린 것이며, 이에 대한 규탄과 설명 없이 해당 영화를 방영 목록에 두는 건 무책임하다고 생각했다"며 이번 조치의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HBO 맥스 측은 추후에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역사적 맥락에 관한 설명과 함께 콘텐츠 목록에 복귀시킬 것이지만, 영화에 별도의 편집을 가하진 않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들은 "영화를 편집하는 건 이런 편견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일과 마찬가지"라며 "더 정의롭고, 공평하며, 포용적인 미래를 만들려면 우선 역사를 이해하고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HBO 맥스의 이런 조처는 영화 '노예 12년'의 각본을 작성한 영화감독 존 리들리가 전날 언론 기고문을 통해 HBO 맥스에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삭제할 것을 공개적으로 촉구한 직후 나온 것입니다.

리들리는 "이 영화는 인종차별 관행의 참상을 무시하며, 그러지 않을 땐 흑인에 관한 가장 고통스러운 선입견을 영구화할 뿐"이라고 비난했습니다.


미국에선 지난달 25일 비무장 흑인이 백인 경찰에 의해 숨진 '조지 플로이드 사건'으로 촉발된 전국적 항의 시위 여파로 각지에 남아있는 인종차별적 상징물들에 대한 퇴출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대표적인 퇴출 대상이 남부연합 관련 기념물입니다. 남부연합은 1861년 노예제를 고수하며 합중국을 탈퇴한 미국 남부지역 11개 주가 결성한 국가로, 백인 우월주의와 인종차별의 상징으로 비화했습니다.

미 육군은 남부연합 장군들의 이름을 딴 기지들의 개칭을 논의 중이며, 미 해병대는 남부연합기(旗)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플로리다주, 버지니아주에선 당국이 남부연합 군인 동상을 철거했거나 철거 방침을 밝혔습니다. 미시시피주에선 남부연합기 문양이 새겨진 주 깃발을 바꾸는 방안이 추진 중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