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코로나로 부실여신 급증…은행 충당금 1.5조 늘수도"
입력 2020-06-10 17:24 
코로나19 여파로 올해 은행권 부실 여신에 대한 대손 비용이 지난해보다 90% 이상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임형준 한국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실장은 10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코로나 위기와 금융권 대응'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경제 전망 하향 수치가 점점 반영되면서 은행 대손 충당금 적립 부담은 증가할 것"이라며 "올해 은행권 대손 비용은 지난해 1조6000억원보다 최소 4000억원, 최대 1조5000억원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임 실장은 올해 경제 역성장 정도에 따라 경제성장률이 -1.6%로 떨어지는 최악 사태가 벌어지면 대손 비용이 1조~1조5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본 전망치인 -0.5%일 때 대손 비용은 4000억~7000억원 늘 것으로 예상됐다.
대손이란 은행이 고객에게 빌려준 돈을 돌려받지 못해 발생하는 손해 비용을 말한다. 은행은 회수 불가 채권에 대한 부담을 미리 추산해 회계에 '대손 충당금'으로 인식한다. 이 비용은 적절히 쌓으면 손실 흡수 능력을 강화하는 기능을 하지만 과도하면 은행 수익성이 떨어져 자금 공급 기능이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
임 실장은 "코로나19 위기가 길어지면 은행 수익성과 건전성이 악화돼 실물 부문에 대한 신용공여 역량이 떨어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은행은 실물·금융 복합 위기를 막기 위해 손실 흡수 능력을 유지하고 개방형 혁신을 통해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권 내 원활한 자금 중개 기능을 위해선 은행에 대한 금리 규제 등이 완화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은행이 위기 땐 '소방수' 노릇을 도맡아 하면서 공공 리스크 부담을 짊어지는데, 평시에도 과도한 가격 규제를 받고 있다는 시각에서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은 "은행은 수익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데, 대출 영업 등으로 돈을 번 만큼 경제위기 때 저금리 대출·상환 유예 등 정책금융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은행에 수익이 나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고 가산금리 등을 통제하는 압박 상황에선 정상적인 자금 공급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정주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