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대남업무' 김여정·김영철…'대적사업'도 주도하나
입력 2020-06-09 14:12  | 수정 2020-06-16 15:05

북한이 오늘(9일) 청와대를 포함한 남북 간 모든 연락 채널 폐기를 선언하며 이러한 지시의 주체로 김여정 당 제1부부장과 김영철 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거론했습니다.

정작 대남업무 부서의 수장인 장금철 당 통일전선부(통전부) 부장은 언급되지 않아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날 조선중앙통신은 어제(8일) 열린 대남사업 부서들의 사업총화 회의에서 김영철 당 부위원장과 김여정 제1부부장의 지시에 따라 "대남사업을 철저히 대적사업으로 전환"하고 "북남 사이의 모든 통신련락선들을 완전 차단해 버릴 데 대한 지시"를 내렸다고 보도했습니다.

김 제1부부장과 김 부위원장이 현재 대남 업무를 총괄하고 지휘하고 있음을 밝힌 셈입니다.


김여정의 대남업무 총괄은 이미 지난 5일 통전부 대변인 담화를 통해 공개됐습니다.

당시 대변인은 김여정을 "대남사업을 총괄하는 제1부부장"이라며 "김여정 제1부부장이 대남사업 부문에서 담화문에 지적한 내용을 실무적으로 집행하기 위한 검토사업을 착수하는 데 대한 지시를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김여정은 앞서 4일 전단 살포와 관련한 담화를 발표, 9·19남북군사합의 폐기 등을 언급했습니다.

지난 3월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친서를 보낸 사실을 공개하며 이에 화답하는 담화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김여정이 대남업무뿐 아니라 대외정책 전반에 깊이 관여하면서 김정은 위원장의 국정 운영에서 실질적인 2인자 나아가 동반자로 활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김여정이 어느 부서에 적을 두고 있는지 확인되지 않았지만, 이런 이유로 정부 당국은 그가 노동당 내 핵심이자 서열 1위 부서인 조직지도부에서 직책을 가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김영철 당 부위원장이 김여정 제1부부장과 함께 이번 사안을 총괄하는 것은 그의 맡은 직책상 당연해 보입니다.

김영철이 김여정과 함께 지시 주체로 언급됐다고 해서 업무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대리인이라고 할 수 있는 김여정을 능가하는 자리가 아니라 김여정 담화를 집행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가 맡은 당 부위원장 직책은 통전부를 포함해 대남 업무를 지휘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김영철은 2018년 싱가포르에 이어 지난해 하노이 회담을 이끌었던 인물로, '하노이 노딜'의 책임을 지고 통전부장 자리를 장금철에게 넘겨줬습니다.

그러나 정치국 위원과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 직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하노이 노딜에 대한 책임을 남측에 전가하면서 남북간 대화와 협력을 거부한 채 경색 유지 모드를 유지한 만큼 김 부위원장의 활동도 크게 드러날 기회는 없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이 대남 대결 정책으로 전환하면서 이 업무의 실질적 책임자는 김영철이어서 앞으로 그의 활동이 부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통전부의 수장인 장금철 부장이 이번 지시의 주체로 들어가지 못한 것 역시 김영철이 지휘 체계상 상급자이기 때문이라고 읽힙니다.

더욱이 조선중앙통신은 전날 열린 회의와 관련, '대남사업부서들의 사업총화회의'라고 표현해 통전부 뿐 아니라 남북간 군사 핫라인과 남북 군사회담 등을 관장하는 군 관련 관계자들도 참석했을 것으로 보여 주목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