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부, '북 로켓 발사 중지' 본격 압박
입력 2009-03-20 17:53  | 수정 2009-03-20 18:07
【 앵커멘트 】
정부가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때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 PSI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다음 주 중국과 미국을 방문해 대책을 논의하는 등 북 로켓 발사 중지를 위한 본격적인 압박에 나서고 있습니다.
정성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북한이 인공위성이라고 주장하는 로켓 발사 시기가 예고된 가운데 정부가 본격적인 북한 압박에 나서고 있습니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오늘(20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한다면 이는 우리 정부가 PSI 참여 검토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 주도로 2003년 시작된 PSI는 핵무기를 포함한 대량살상무기 적재가 의심되는 선박을 자국 해상에서 검문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으로, 주로 북한과 이란, 시리아등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이는 북한의 반발을 크게 불러올 수 있는 강경 조치로 북한은 지난 2006년 성명에서 PSI를 전쟁의 도화선이라고까지 표현한 바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다음 주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 본부장을 중국과 미국으로 급파해 북 로켓 발사에 대한 6자회담 당사국들의 대응책을 논의한다는 계획입니다.

위성락 본부장은 특히 중국과의 협의에서 로켓 발사를 막기위해 중국이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하는 한편 발사가 강행되면 국제사회의 제재가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 이장춘 중국 공산당 상무위원의 방한시기도 북한을 압박하는 카드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장춘 상무위원은 다음 달 4일부터 7일까지 한국을 방문하는데 시기가 북한의 로켓 발사 예고 시점과 맞물려 정부의 어떤 노력이 들어가지 않았나 하는 분석도 낳고 있습니다.

mbn뉴스 정성일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