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의도 뭘까…청와대, 남북 연락채널 폐기에 당혹
입력 2020-06-09 11:26  | 수정 2020-06-16 12:05

청와대는 오늘(9일) 북한이 청와대 핫라인을 포함해 남북 통신연락 채널을 차단·폐기하기로 한 데 대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 의도 분석에 주력했습니다.

청와대는 북한의 이 같은 통보에 즉각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대신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남북 연락 채널 폐기에 이른 배경을 분석하고 대응책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는 일단 소집되지 않았습니다.


지난해 2월 북미 정상의 '하노이 노딜' 이후 북미 및 남북 대화의 교착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북한이 사실상 남측과의 대화 중단을 선언한 것은 청와대 입장에서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들어 북미대화 촉진 등 대화의 선순환을 위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공동 방역 등 남북 협력사업 추진에 주력해온 만큼 체감하는 실망감은 클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 내에서는 북한의 이번 조치를 놓고 다각적인 해석이 나온습니다.

우선 북미관계는 물론 남북관계가 좀처럼 풀리지 않는 데 따른 불만이 쌓인 상황에서 최근 대북전단 살포 문제가 도화선이 돼 남북 핫라인 차단으로 악화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습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 4일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담화 등을 통해 대북전단 살포와 남한 당국의 대응을 비판하며 남북관계 단절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바 있습니다.

남측이 한반도 문제를 푸는 노력을 더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는 북한의 메시지라는 해석도 있습니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북측에서는 무엇인가를 풀어보겠다고 생각할 때 세게 나오는 경우가 많지 않았냐"고 말했습니다.

남북 공동방역, 철도 연결사업, 개별 관광 등 남북관계 진전을 위한 각종 사업을 제안한 상태에서 대북제재 문제를 풀어가는 적극적인 행동에 나설 경우 대화 복원은 가능하다는 의도입니다.

실제 지난 3월 북한의 발사체 발사에 대한 한국 정부의 유감 표명에 김여정 제1부부장이 청와대를 강도 높게 비난했지만,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그다음 날 문 대통령과의 신뢰를 확인하는 친서를 보낸 바 있습니다.

따라서 청와대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도 남북대화를 복원하는 노력에 공을 들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장 오는 15일 6·15 남북 공동선언 20주년 등을 계기로 문 대통령이 어떤 형태로든 현재의 남북관계를 진단하는 동시에 대화 재개를 위한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