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위안부 쉼터 소장 사망 최초 신고자는 ‘국회 공무원’…윤미향 보좌진 가능성
입력 2020-06-09 09:54  | 수정 2020-06-16 10:07

지난 6일 사망한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대)'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마포쉼터(평화의 우리집) 소장 A씨(60)가 연락이 안 된다며 최초로 신고한 사람은 자신을 국회 공무원이라고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사건을 접수한 경기도 파주경찰서 관계자는 9일 신고자가 조서에 자신의 신분을 공무원(국회)으로 밝혔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8일 연합뉴스는 이 국회 공무원이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보좌진 중 한 명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윤 의원 보좌진 B씨가 지난 6일 오후 10시 35분쯤 경기 파주시에 거주하는 A씨와 연락이 안 된다며 소방당국에 신고했다. 당초 A씨의 전 직장동료로만 알려졌던 B씨는 경찰 조사 때 자신의 신분을 공무원(국회)이라고 밝혔으며, 윤 의원의 보좌진 중 한 명인 것으로 전해졌다.
윤 의원 측은 연합뉴스에 "쉼터 소장님과 관련해서는 어떤 취재에도 응해드리지 못함을 이해해주셨으면 한다"며 확인요청을 거부했다.

B씨는 앞서 지난 6일 밤 A씨의 파주 아파트를 찾아갔으나 집 안에서 아무런 응답이 없자 "A씨가 연락되지 않는다"며 신고했다. 소방당국과 경찰은 A씨 집 현관문을 강제로 열어 같은 날 10시55분께 집 안 화장실에서 숨진 A씨를 발견했다.
경찰은 지난 8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 결과 손씨가 스스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경찰은 정확한 사망 경위를 조사하기 위해 손씨의 휴대전화를 디지털 포렌식 해 마지막으로 통화한 인물을 확인하고, 유서로 추정할 만한 메모가 휴대전화에 남아 있는지도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윤 의원은 A씨 사망 소식이 알려진 6일 자신이 과거 페이스북에 올린 A씨에 대한 글을 재차 공유했다 삭제한 바 있다. 윤 의원은 게시글에서 "급여는 80만 원밖에 못 드린다 했는데도 이리도 좋은 일에 함께하는 일인데 괜찮다고 해 만나게 됐다"며 "(A씨가) 쉼터에서 만들어내는 우리와 할머니들의 웃음이 운동에 큰 에너지가 됐다"고 했다.
[이진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